한국팀이 200만 달러의 최종 우승 상금에 도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오준호 KAIST 교수(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는 “충분한 경험을 얻었으니 내년 말에는 더 좋은 성적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내년에는 8개의 과제를 따로 따로 하지 않고 그대로 한 번에 진행해 성공여부를 가리는 ...
미국항공우주국에서 우주 비행사를 훈련시킬 때 사용할 정도지. 현재 개발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들도 만화에 나오는 상상이 현실화된 것이야. 이처럼 만화 속 상상은 상상으로만 머물지 않고 우리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높여 주고 상상을 실제로 이룰 수도 있게 해 준단다.인터뷰만화가 홍승우내 ...
수 있는 로봇. 구형 휴보에 비해 훨씬 날렵해졌으며 모터 힘도 세어졌다. (자료: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한국 돌아와 로봇과학자 삶 시작KAIST 교수가 되다졸업 후 오 교수는 한국으로 돌아와 1985년 KAIST 교수 임용시험에 합격했다. 그 이후 지금까지 로봇 한 가지에 매진하고 있다. 오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기사 참조).본선에 진출한 첫 번째 한국팀은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다. 미국 드렉셀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한국 최초의 두발로봇 휴보를 업그레이드 한 ‘DRC 휴보’를 내세워 최종 결선에 올랐다. 더 세진 힘과 튼튼해진 몸체, 새롭게 추가한 네발로봇 ...
나의 아름다운 목소리로 항상 응원할거야!2012년 여수세계박람회에서 주목받은 멋진 휴머노이드들이 만드는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애니뮤지컬 ‘로봇랜드의 전설 : 트리아의 별’!,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함께 하지 않을래?3월 12일부터 4월 28일까지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에서 만날 수 ...
겨우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다.이 대회에 참가한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특훈교수(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는 “사람이 평소에 작업하는 발전소, 공장 등으로 들어가 작업을 해야 하니 인간형 로봇이 아니면 사실상 접근이 불가능하다”며 “재난구조로봇은 평소엔 비싼 가격과 불안정함 때문에 ...
‘아리아(ARIA)’라는 이름의 로봇 시스템을 설계했다. 로봇 몸체는 프랑스에서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나우(NAO)’를 이용했다. 나우를 작은 방 앞에 있는 테이블에 세우고 평면 디스플레이를 방 옆벽에 부착했다. 그 뒤 아이가 앉는 의자는 로봇과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했다. 아이의 ...
정답은 ‘로보넛2’.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여러 우주인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이랍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현지 시간으로 1월 8일, 로보넛2가 ISS의 데스티니 실험실에서 계기판을 조작하고 있는 장면을 공개했어요. 지구에 있는 NASA의 기술자들이 원격으로 로보넛2를 ...
지면을 박차야 하는지까지 뉴턴역학을 빼놓을 곳이 없다. 박 교수는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려면 사람의 행동을 뉴턴역학으로 이해해 본뜰 수 있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현대물리의 왕은 뉴턴역학?정진수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는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기술 중 전자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