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역은 만이 됐다. 만의 입구는 안쪽보다 깊이가 얕았는데, 그 때문에 입구가 빽빽한 해초 숲으로 막히게 됐다. 한번 들어온 바닷물이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이 지역의 낮은 강수량과 높은 일조량, 강한 바람은 점점 바닷물을 증발시켰고, 결국 염분 농도가 보통 바닷물보다 ...
이유는 먹이였다. 엘니뇨 때문에 수온이 올라가면 바다이구아나가 즐겨먹는 적색과 녹색 해초가 줄어드는데, 이럴 때 조금만 먹고도 살아갈 수 있게 끔 몸집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먹이가 풍부해 지는 라니냐 때는 다시 몸집을 키운다.바다이구아나들이 이렇게 몸집을 줄일 수 있는 비 결은 ...
걸까요? 마치 식물의 잎처럼 생긴 이 생물은 사실은 바다 민달팽이(Elysa Chlorotica)예요. 해초 사이에서 숨어서 해조류를 갉아 먹고 사는데, 색이 주변과 똑같기 때문에 천적이 이 바다 민달팽이를 찾기 매우 어려워요. 우리 눈에는 보석처럼 예쁜 초록색이 아주 훌륭한 위장색인 셈이지요. 게다가 ...
식물을 말해요. 해조류 중에서도 씨앗으로 번식하는 식물을 ‘해초’라고 부르지요. 해초가 아닌 해조류는 ‘포자’라고도 부르는 ‘홀씨’로 번식을 한답니다. 홀씨는 암술과 수술이 만나 생기는 씨앗과 달리, 혼자서 번식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해요. 육상에 사는 고사리 같은 양치식물이나 이끼류, ...
크라운피시를 보호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밖에도 포도를 닮아 ‘바다의 포도’라 불리는 해초 ‘그린캐비어’와 바다 장어, 그리고 악어 등 다양한 생물을 볼 수 있었다.연구센터를 둘러 본 후, 탐사대원들은 바다로 발길을 옮겼다. 바다거북을 방생하기 위해서다. 바다거북 방생은 백사장에서부터 ...
물 위로 불쑥 올라오는 등지느러미를 보고 주로 어떤 돌고래인지 구분해요. 미역이나 해초를 감고 장난치다가 긁힌 상처가 지느러미에 많거든요. 어민들이 설치한 그물에 걸려 흉터가 남기도 하지요. 상처와 흉터를 보면 돌고래를 구분할 수 있어요. 돌고래는 물속에서 어떻게 숨을 쉴까?“푸우~!” ...
거치는 긴긴 시간 내내 바다 바람을 맞았어요. 그래서 이 커피에는 눈물과도 같은 비릿한 해초 냄새가 배어 있습니다. 커피 중 막내지만, 끔찍한 병충해를 견디고 살아남은 저는 모진 세월을 숨긴 채 역설적인 화사한 맛과 향을 선보이고 있어요. 그 누가 우리 커피에게서 자연의 영향을 지울 수 ...
부르는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6억 톤가량 묻혀 있지요.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해초나 플랑크톤이 썩을 때 생기는 메탄가스가 깊은 바닷속이나 빙하 안에서 높은 압력을 받아 물과 함께 얼어붙은 것이에요. 드라이아이스처럼 생겼으며 불을 붙이면 활활 타오르지요. 메탄 하이드레이트 1㎥를 분해하면 ...
11ha(1ha=10000m2)에 해당하는 작은 섬마을 사람들의 주된 생업은 수산업. 어패류를 잡아먹고 해초를 양식해 가공업자에게 팔기도 한다. 섬에는 식수가 없어 외지에서 사와야 한다. 하루하루가 어렵고 힘들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도 희망은 있다. 바로 섬을 둘러싸고 있는 ‘맹그로브 숲’이다. 열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