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보다 더 멀리 나가면 태양열이 너무 약해 태양전지판이 쓸모가 없어진다.이 때문에 플루토늄이나 스트론튬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할때 발생하는 열을 전력으로 바꾸는 ‘열전기 발전기(RTG)’를 사용해 전력을 얻는다. 보이저가 이렇게 멀리 갈 수 있었던 것도 탑재된 RTG가 당초 예상했던 ...
얻기 매우 힘든 물질로, 반감기가 짧아(12.3년) 폭탄을 만들어도 고농축우라늄이나 플루토늄탄처럼 오래 보관할 수 없다. 실용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원자탄만 개발해도 충분한 북한 입장에서는 별다른 실익이 없고, 개발할 이유도 없다 ...
수 있는 카메라도 두 개 달려 있다.안테나지구와 정보를 주고받는 안테나핵에너지 배터리플루토늄 238이 핵분열을 하면서 나오는 핵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한다.충격흡수 바퀴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만들어서 65㎝ 크기의 장애물도 거뜬히 넘을 수 있다.드릴이 달린 팔드릴을 이용해 암석을 약 5㎝ ...
대한 정보는 아직 없다. 보이저 1호의 수명은 방사성동위원소열전자 발전기의 원료 플루토늄이 바닥나는 2025년까지다. 보이저 1호가 지구로 무선 신호를 보내는 데는 17시간이 걸린다 ...
않아서 바로 사용후 핵연료를 재활용할 수 있다.그런데 최근에는 습식재처리 방식으로도 플루토늄 외의 원소를 뽑아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제는 파이로프로세싱만 핵무기와 무관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주장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황 교수는 “이제는 상황이 달라져 파이로 프로세싱의 ...
기존 화성 탐사로봇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동력원. 태양전지판이 아닌 핵에너지(플루토늄-238)를 동력으로 사용. 무게 900kg에 길이는 약 3m. 높이 2.1m 폭 2.7m. 이동 속도는 약 초속 4cm. 17개의 카메라가 달려 있으며 2.1m 크기의 로봇팔을 보유. 57kg에 이르는 첨단 과학센서 및 실험장비도 10종류가 있음. ...
줄일 수 있다(초우라늄핵종은 반감기가 길어서 수만 년까지 독성이 사라지지 않는다. 또 플루토늄처럼 방사능과 함께 화학 독성이 강한 경우도 있다). 이렇게 초우라늄핵종과 우라늄-238을 연소시킬 수 있는 원전을 ‘고속로’라고 한다.고속로가 차세대 원전의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지만 모든 ...
핵종(장수명 핵종)이 생성된다”며 “대안으로 원자로 방식을 택하면 농축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을 섞어야 한다는 문제가 또 생긴다”고 말했다. 기존 우라늄 원전의 문제점을 개선한 차세대 우라늄 원전 연구도 많아 경쟁도 치열하다. 하지만 토륨 원전이 갖는 장점과 실현가능성 역시 무시하지 ...
바위와 토양을 채취한 뒤 분석 장비 안에 넣고 실험할 수 있는 장치도 있다. 동력은 플루토늄-238이 방사성 붕괴할 때 나오는 열로 만든 전기를 이용한다. 화성의 1년(지구의 687일) 이상 돌아다니며 임무를 수행하기에 충분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화성라이프!Part1. 2049 인류 최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