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선 카시니호가 토성에 안착한 지 벌써 10년이 됐어요. 1997년에 미국 플로리다에서 타이탄 로켓에 실려 발사된 카시니호는 7년간에 걸친 비행 끝에 2004년에 토성에 도착했답니다. 우리가 토성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비밀을 하나씩 알 수 있는 것도 카시니호 덕분인 셈이죠. 토성은 태양에서 여섯 ...
때문이다. 심 박사는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꼽았다. 예를 들어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은 지구와 크기가 비슷하고, 지표 기압도 1.5기압으로 비슷하다. 메탄으로 된 호수가 존재해서 지구처럼 구름이 생기고 비가 내리는 일이 반복된다. 메탄을 이루는 탄소와 수소는 생명체의 필수 원소이기 ...
지구에 위성이 달 하나라는 사실이 못내 아쉬운 사람이라면, 위성 제작에 도전해 보자. 잠시 후 1파트에 나올, 위성이 탄생하는 메커니즘 7가지를 숙지한다면 못할 것 ...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위성이라고는 달이나 목성의 4대 위성 정도만 들어봤다면, 위성은 모름지기 행성 가까운 곳을 행성과 같은 방향으로 얌전히 도는 존재라고만 알고 있었다면, 이 기회 ...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존재하며, 극성을 가 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화학 결합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타이탄처럼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 어려운 곳 에서는 액체 메탄이 대신할 수 있다. 온도가 낮아 화학 반응의 진행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좋은 조건은 아 니지만 앞서 이야기했듯 우주의 생명은 얼마든지 ...
천문학자들은 신화 속의 이름을 좋아한다. 태양계에서 발견된 행성과 위성에도 신화 속 이름이 많다. 태양에서 5번째로 먼,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목성)의 이름은 ...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보낼 계획이 있고, 가볼 희망도 품어볼 수 있다. 하지만 타이탄은 멀고 멀다. 그런 타이탄에 어떤 매력이 있어 연구에 매진했을까.“’모른다는 것’ 자체 아닐까요? 탐사선이 가도 여전히 몰라요. 대기를 가져올 수는 없잖아요.”풀리지 않는 호기심이 언제나 남아 있다는 것. 갑갑할 법도 한데, 심 ...
비슷한 크기랍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인 목성의 가니메데는 직경이 5268㎞, 타이탄은 5150㎞로 오히려 달보다 1.5배정도 큰 수준이죠.따라서 달은 ‘모행성과의 질량비가 다른 위성에 비해 큰 편’이라고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에 대해 달이 만들어질 때 재료가 많았기 ...
997년 발사됐어요. 2004년 토성 궤도에 도착한 카시니는 호이겐스를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에 내려 보내고 홀로 궤도를 공전하며 토성을 관측하고 있지요. 이번에 찍은 고리 사진 말고도, 토성 대기를 분석하거나 토성이 뿜는 제트 기류의 성분을 확인하는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