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이 억제된다. 칼륨 채널은 칼륨 이온이 드나드는 통로로, 신경 세포의 칼륨 농도는 막전위를 형성해 신경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산쇼올이 TrkC와 결합하면 칼륨 채널이 막히고, 이로 인해 입안 감각신경의 흥분 전달이 일시적으로 마비돼 얼얼한 느낌을 받게 된다 ...
가령 트랜지스터 중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경우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위차가 만들어지는 두 개의 전극인 ‘소스’와 ‘드레인’,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전류가 오가는 ‘반도체’와 게이트를 덮는 ‘절연막’ 등이 복잡한 다층구조로 이뤄져있다. 이를 기존의 널빤지가 아닌 섬유 ...
자극으로도 신호가 전달돼요. 뉴런 끝부분에서 (+)전하를 갖는 이온의 농도를 조절해 전위차를 만들면 시냅스에 잠시 전기가 흐르는데, 이때의 전달 속도는 2m/s 정도예요.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전달보다 약 10배 이상 빠르답니다. 따라서 날아오는 공을 피하거나 뜨거운 물체에서 손을 떼는 등 빠른 ...
머금은 종이를 이용해 박막형 전지를 제작했다. 박막형 전지는 마그네슘과 탄소 사이의 전위차로 전력을 만드는데, 전지에 물을 첨가하면 종이가 물에 젖으면서 소금물이 돼 전기를 흘린다. 또 이 전지는 잘 휘어져 테이프, 스티커 등 여러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기존 전지와 달리 일반 쓰레기로 ...
의해 전달됩니다. 뇌는 그 전위차를 인식해 판단을 내립니다. 신체가 건강하지 못하면, 전위차가 제대로 나타나지 못합니다. 때문에 올바른 정신적 판단도 이뤄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의견은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두 답변 가운데 학생 B의 답변이 더욱 조리 있게 들린다. 이유는 간단하다. ...
가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안심하시라. 사람을 비롯해 금속 구와 접촉한 모든 곳이 같은 전위로 대전되기 때문에 둘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비가 오는 날 벼락이 차에 떨어져도 그 안에 탄 사람은 안전한 것과 흡사한 원리다(하지만 집에서 실험하는 것을 추천하지는 않는다. 작은 실수로 ...
지난 100여 년의 신경과학 연구로부터 특정한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세포 내에서 활동전위의 생성 빈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마치 모스 부호와도 같은 신경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전혀 찾지 못하고 있다. 신경세포가 만들어내는 복잡한 뇌의 언어 체계를 완벽하게 ...
연구팀은 목성의 극지역에서 자기장에 의해 전자들이 최대 400킬로전자볼트(keV)에 이르는 전위차를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목성 오로라의 생성 원리가 지구의 약한 오로라 생성 원리와 유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행성들이 저마다 주변 우주 환경과 전자기적으로 ...
이 밀려나온 공기 부피를 측정해 몸의 체지방량을 분석하는 거예요.이것을 ‘공기 전위 부피변동 측정법’이라고 해요.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정해진 수영복과 수영모를 꼭 써야만 해요.”이외에도 운동생리학 실험실에는 소리와 불빛을 보고 빠르게 다리를 벌리는 ‘반응시간 측정기’, 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