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 인공생명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즉 생명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현상인 활동성, 자기복제(생식) 그리고 진화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인공생명은 전자환경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자연의 생명과는 분명히 구별된다. 인공생명에 관한 첫학술회의는 지난해 9월, ...
우선 약에 관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생명체의 특징은 종족을 번식시키려는 소위 자기복제(自己復製)와 개체를 지탱하려는 항상성 유지(恒常性 維持)라는 본능적 특성이 있다.어떤 원인에 의하여 항상성의 균형이 깨어져 비정상적으로 되는 것은 질병이라하여 이를 치료하여 본래의 상태로 ...
과연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유용한 상품으로서 자리잡을 것인가, 아니면 연구 그 자체에 머물러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할 것인가.인공지능은 금세기의 가장 흥미있는 과학적 사업으로 믿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인공지능의 앞날은 어둡고 결국 잘못 쓰이게 되리라고 염려하는 사람들도 ...
21세기 초가 되면 오늘날 공장에서 보는 자동기계의 후예들이 더 많은 작업장에서 부지런히 일할 것이다. 그들은 해저의 탐험, 대규모 건설, 범죄 척결, 원자력 발전소 감시를 할뿐 아니라 우주인, 인공두뇌를 가진 친구로서의 역할도 할것이다. 그때가 되면 로봇은 공장의 생산라인에서 보듯 단순하 ...
신석기시대부터 인류는 식료품을 가공하는데 미생물을 이용해 왔다. 오늘날 미생물은 식료품뿐 아니라 각종 의약품 화학제품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전공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암치료제인 인터페론, 당뇨병 치료제 인슐린, 대뇌의 뇌하수체에서 생 ...
서독의 '막스-플랑크,연구소는 1928년 설립이래 줄곧 감자의 육종재배를 연구하여 왔다. 최근에 들어서 전통적인 육종기술이 현대적인 유전공학과 손을 잡게됨으로써 감자의 육종기술에 있어서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 연구소의 육종연구는 4개의 연구분과들이 서로 밀접한 연결을 가지면서 연구 ...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AIDS 희생자가 생겼다. 통제하기 어렵게 급속 전염되는 AIDS의 정체를 소상히 살펴본다.'현대의 페스트' '세기말의병'등 아주 기분나쁘고 참혹한 인상을 주는 갖가지 별명이 붙은 AIDS(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이병의 무서움과 예방대책 실태 등은 미국, 유 ...
특성을 갖고 있어야 하는데 왓슨과 크릭이 해명한 것과 같은 구조의 DNA 분자라면 쉽게 자기복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왓슨과 크릭이 1953년 봄 영국의 과학전문지인 〈네이쳐〉에 DNA 2중나선구조를 발표하자 온 세계의 생물학계는 큰 충격을 받았다. 신비의 베일속에 가려 있던 유전이라는 현상이 ...
다양한 생물종의 생명현상을 지배하는 유전자의 기능은 인류의 풍요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생물체란 무생물과 달리 분열하여 성장할 수 있고, 주위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신을 적응시키며,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반응을 나타낸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자기와 꼭 닮은 자손을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