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다. 올해 초 발표된 ‘뮤온 g-2’ 실험 결과도 그중 하나다. 기본입자의 하나인 뮤온의 자기모멘트를 측정했는데, 페르미랩에서 실험한 결과와 물리학에서 우주의 구성과 움직임을 설명하는 정교한 이론인 ‘표준모형’에서 예상한 값이 달랐다. 이는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다른 이론이 존재할 ...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집니다. 온도를 한계점 이상으로 높이면 철 원자의 자기모멘트 방향이 다시 무질서하게 흐트러져 바늘이 자석에서 떨어집니다. 이 온도를 ‘퀴리 온도’라고 부릅니다. 순수한 철의 퀴리 온도는 약 770℃이고, 촛불은 겉불꽃이 약 1400℃, 속불꽃이 약 1200℃니 퀴리 ...
암흑물질, 또는 새로운 입자가 이를 설명해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은 총 5차까지 계획돼 있다. 이번 논문에는 전체 데이터의 6%에 해당하는 1차 실험결과만 담겨있고 2, 3차 실험은 분석 중, 4차 실험은 진행 중이다. 5차 실험 계획도 세운 상태다. 모든 실험을 ...
이용해 입자물리학 연구를 진행 중인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앞선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값과 이번 B중간자 붕괴 실험값이 둘 다 이론과 어긋난 이유는 미지의 새로운 입자 때문일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요인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LHCb는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거쳐 ...
잔잔한 바다 위를 항해하는 배에서 금방이라도 선원들이 나와 분주하게 움직일 것 같다. 선실부터 지붕 위 굴뚝까지 정교하게 구현된 이 배의 크기는 단 3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머리카락 위에 올려놓으면 마치 4차선 도로 위를 달리는 승용차처럼 보일 정도다. “떠나볼까 let me fly to ...
UNIST는 정시모집을 실시하지 않고 100% 수시모집으로만 학생들을 선발하며, 수시모집의 각 전형은 서류 평가와 면접 평가를 주요 전형 요소로 삼고 있다. 이공계특성화대학 중 POSTECH을 제외한 KAIST, GIST, DGIST, UNIST는 수시 6회 지원의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이들 4개 과학기술원을 각각 지원할 경우 이 ...
90여 년 전 한 무명 과학자가 신비로운 물리 현상을 예견했다. 극저온까지 냉각시키면 물질을 이루는 모든 입자가 양자역학적으로 동일한 상태가 되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다. 단순히 흥미로운 현상이라고만 여겼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가, 최근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
입자가 자기장에 반응해 회전하는 힘을 받는 정도를 말한다. 뮤온은 스핀이 1/2인 입자로, 자기모멘트와 스핀의 관계식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표준모형이 예측한 값과 실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측정 오차의 3.6배에 달한다. 이는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많은 물리학자들이 ...
EFFECT특이한 효과1887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는 금속판에 빛을 쬐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발견했다. 바로 광전효과다. 금속판의 전자는 금속 원자와의 상호작용으로 묶여있기 때문에 저절로 금속판을 벗어날 수 없다.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밖에서 쪼여줘야만 전자가 금속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