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CRT(Cathode Ray Tube)는 가장 대중화된 디스플레이다. 보통 브라운관 또는 음극선관이라고 부르는 CRT는 단색에서 시작해서 천연색에 이르기까지 환상적인 화면을 제공해왔다.1879년경 월리엄 크룩스가 처음으로 발명한 이래 1백여년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여타의 표시장치들을 제치고 ...
결정상태인 액정을 이용한 컴퓨터화면을 말한다. TV나 데스크톱 컴퓨터에 쓰이는 음극선관(CRT)화면보다 전력소모가 적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랩톱컴퓨터나 노트북에서 일반적으로 쓰인다.원래 액정은 1888년 생물학 연구과정에서 발견됐으나, 실용화된 것은 70년대초 일본업체들이 전자손목시계와 ...
것으로, 심한 경우 두통과 시각장해는 물론 요통 무력증까지 유발한다.VDT증후군이란 CRT(음극선관)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광선과 정전기 반사 떨림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보안기를 사용하면 다소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보안기는 유해광선과 화면 반사로 인한 눈의 피로를 ...
했다.물론 이 글을 읽는 독자는 이러한 경험을 해본 일이 거의 없을 것이다. TV모니터(CRT, 음극선관)를 개조한 컴퓨터 모니터(monitor)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것은 불과 10여년전의 일이다. 모니터를 기본 사양으로 채택한 개인용 컴퓨터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면서 이전의 카드 천공기는 서서히 ...
디지틀 신호는 수 볼트의 낮은 전압으로 발생되므로 멀리까지 전달되지 않지만, VDU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비디오 신호는 수 백 혹은 수천 볼트로 증폭되므로 수십미터에 이르는 거리까지 퍼져 나간다. 비디오 신호는 사용자의 건강에도 좋지 않은데, 어떤 회사는 이 점을 이용하여 차폐용 피복을 ...
갖추어졌다는 게 과학담당교사들의 얘기다.경남과학고에서 철이온의 반응을 알아보는 음극선실험을 지도하고 있던 물리담당교사는 "과거에 진주여고와 전남기계공고 등에서 근무했는데, 이런 실험설비가 없어서 해보지를 못했다"고 말하면서 2명의 학생이 1세트의 실험기구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
표현된다는 소위 발머계열(Balmer Series)을 1885년에 발표하였다. 또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음극선이 지극히 가벼운(질량이 ${10}^{-31}$kg 정도)전자라는 입자로서 음전기를 띠고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9세기 이전의 옛날 사람들은 물질이 원자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는 더 작은 입자로 나누어질 수 ...
작업을 수행(예를 들면 'RUN'으로 명령함)하면 프로그램이 제대로 만들어져 있었다면 CRT(음극선관: Cathode Ray Tube의 약자)나 프린터 등으로 결과가 나올 것이다. 신기루의 정복을 위한 무기─컴퓨터 프로그래밍 길을 가다 보면 전자오락실에서 '갤러그'에 열중하여 버튼을 열심히 두들겨 대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