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연구를 계속했다기체의 전기현상, 특히 저압 가스방전(진공방전)을 연구하여 음극선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 뼈의 발육이 온전하지 못한 선천성 골질환 화골부전증(化骨不全症)이라고도 한다 출생 때부터의 다발성 골절이 주증이며 유전관게는 인정되지 않으나 선천적으로 골막성 ...
실험하던 중 기존의 음극선과는 다른 특이한 광선을 발견했다. 물질을 투과할 수 있으며, 음극선과 달리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주어도 진로를 굽히지 않고, 거울이나 렌즈에도 쉽게 반사나 굴절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는 이 광선의 정체를 알 수 없다고 해서 X선이라고 명명했다. 이 업적으로 ...
리더십이 강한 스승이기도 했다. 과학자로서 톰슨은 수학에 밝고 실험에도 능했으며, 음극선, X선, 기체 이온화, 원소 특성, 방사선 연구 등 다양한 연구주제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지녔다. 이 주제들은 당시로서는 최첨단이면서 밀접하게 연관돼 있었기 때문에 톰슨의 학생들은 폭넓은 주제 선택이 ...
시작은 1897년 영국의 톰슨이 음극선의 운동 방향과 수직으로 전압을 걸어주고 음극선이 휘어지는 방향을 알아내면서 비롯됐다. 이 입자가 음의 전기를 갖는 입자 즉 최초의 소립자인 전자다.1911년 핵의 존재를 밝혀낸 러더퍼드 경은 알파 입자(헬륨 핵)를 질소 핵에 충돌시켜 질소 핵이 산소 핵과 ...
입자가속기이므로 입자가속기에 의해 첫번째로 발견된 것은 전자라고 할 수 있다. 음극선관이 TV 브라운관의 효시이고 보면 현대의 가정은 입자가속기를 1개 이상씩 가지고 있는 셈이다.전자보다 2백10배나 더 무거운 뮤온은 1936년 앤더슨과 네데메어에 의해 가속기가 아닌 우주선 입자를 통해 그 ...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음극선의 입자성(=빛의 입자성)이 강력하게 부각됐다.음극선의 입자성 발견은 20세기에 상대성이론이 출현되는 중요한 계기가 됐고,이어 X선의 본성에 대한 논쟁과정에서 '빛이 파동이면서 입자라는 이중성을 갖고 있다'는 새로운 인식도 나타났다.또한 방사선의 ...
상징은 브라운관. 독일 스트라스버그대학의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1850-1918)은 1897년 음극선관을 이용한 브라운관을 발명했다. 전자총에서 나온 빛이 스크린에 닿으면 그곳에 미리 발라놓은 인이 발광한다. 또 빛이 통하는 길목에 자기 코일을 감아놓으면 전자선을 화면의 상하좌우로 보낼 수가 ...
레나르트(1862-1947)도 방전관 주위의 발광현상을 목격했지만 주의깊게 보지 않았다. 당시 음극선 연구의 대가는 레나르트였다. 그는 최초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후보로 올랐지만 X선을 발견한 뢴트겐에게 6대 16으로 밀리고 말았다. X선 발견은 그만큼 의미가 컸던 것이다.X선에 남다른 호기심이 ...
음극선이라고 불렀다.1897년 영국의 J. J. 톰슨은 음극선의 방향과 수직으로 전압을 걸어 음극선이 휘어지는 방향을 알아내 이 입자가 음(-)의 전기를 띤다는 사실과, 입자의 전하량과 질량의 비를 알아냈다. 이로써 처음으로 전기의 본질인 전자의 존재가 드러났다. 톰슨은 이 공로로 1906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