것보다 훨씬 빨리 감염 여부를 알 수 있거든요. 1월 24일 세계보건기구는 당시까지 공개된 유전체염기서열을 분석해 코로나19바이러스만의 특징적인 부분이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는 처음 공개했어요. 이후 여러 나라가 이를 이어 발표했지요. 문 박사는 “과거에는 논문을 발표할 때에야 공개했던 ...
유전자의 DNA 서열을 선별했다. 스파이크단백질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유전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항원으로 작용한다. 연구팀은 이렇게 확인된 스파이크단백질 발현 유전자의 전체 또는 일부 RNA 염기서열을 사용해 10여 가지 항원 부위를 발현하는 ...
위해 타기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공동 연구팀은 유전자분석법 중에서도 각 개체의 유전체 내 연속적이고 짧은 반복 구간의 반복횟수, 다형성 등을 비교하는 ‘마이크로새틀라이트(microsatellite)’ 분석법을 사용했다.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분석법은 개체별로 다양성이 커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
종양세포가 관찰되는 등 암이 생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사람의 경우에도 암 환자의 유전체 샘플에서 ATAD5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됐다. 이 연구위원은 “암 환자의 경우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DNA 복제와 복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해 암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암세포가 계속 증식할 ...
일반적인 단백질입니다. 반면 다른 각 티슈에서는 긴 종이가 쭉 빨려나옵니다. 바이러스 유전체에서 단백질 덩어리가 나오는 모습입니다. 한 손에 가위를 들고 긴 종이를 자르며 바이러스가 단백질을 만드는 기작을 열심히 설명했습니다. ‘NG’가 계속 나는 바람에 3분짜리 영상을 만드는 데 ...
몸 등을 만들기 때문이에요. 이때 한 생명체의 유전물질 총합을 ‘유전체’라 부르지요.유전체의 영어 표현인 ‘게놈(genome)’은 1920년 독일 식물학자 한스 윙클러가 처음 지었어요. 유전자를 뜻하는 영어 ‘gene’과 염색체를 뜻하는 영어 ‘chromosome’을 더해서 만들었죠. 여기서 ‘유전자’란 ...
단위체 중 하나인 아데노신삼인산(ATP)과 유사해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 유전체를 구성하는 RNA의 정상적인 복제를 막는다. RNA가 복제되기 위해서는 ATP가 필요한데, 이 자리에 약물 분자가 대신 끼어 들어가 비정상적인 RNA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이를 ‘경쟁적 저해제’라고 부른다) ...
바이러스를 확보해 유전체염기서열을 계속해서 공유하고 있어요. 바이러스는 증식할 때 유전체염기서열이 조금씩 변하기 때문에 그 경과를 지켜보기 위해서지요. 문 박사는 “사스도 확산되는 와중에 변이가 일어나면서 감염력이 약한 종류가 나타났다”며, “코로나19도 변이로 인해 감염력이 ...
메르스 백신을 위해 장비와 체계를 만들어둔 CEPI 협력사 이노비오도 코로나19바이러스의 유전체염기서열이 공개된 지 3일 만에 백신 개발 준비를 시작했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유럽에서는 아시아인을,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인을, 중국에서는 우한을 두고 혐오발언이 나오고 있어. 과학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