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나? 우리들의 지구의 운명이 핵전쟁과 인구증가, 자원고갈, 식량문제등으로 멸망의 위기에 다가가고 있다고 하는 학자들이 많이 있다. 하기야 어떤 종교는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날이 가까와 지고 있다고도 하는데, 그때가 서기 2000년이 되는 때라고 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L는 수 10년에 해당하나, ...
덥히는 태양에너지.그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지구상의 최대 에너지원1970년대 에너지 위기를 겪으면서 많은 사람들은 태양도 중요한 에너지원 또는 적어도 보충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 하였다. 태양 에너지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채취·이용할 수 있다.태양으로부터 얻어지는 복사 ...
수정했다. '키신저'나 '덜레스'가 부르짖은 '한정핵전략'이 그것이다.1962년의 쿠바위기를 케네디대통령은 강경하게 막아냈다. 그러나 그결과 소련에 핵열세를 통감케 하여 그뒤의 핵전력 대확장을 초래하게 되었다.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테일러'대장이 제창한 '유연대응전략'을 채용했다. 그것은 ...
석탄이 생산되기는 하지만 그 양이 많지 않으며 석유는 전혀 나지도 않는다. 따라서 석유위기에 대비할 뿐만 아니라 공해의 발생 등 화석연료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무난히 생성될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생산 및 이용기술에 관한 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바이오매스를 생산하기 ...
아니라 지금까지 많은 생물이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현재도 인간의 활동때문에 멸절위기에 있는 생물이 있다.생물은 서로 도와가며 살아간다. 바로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고 인간이 다른 생물을 멸하게 하면 하늘을 향해 침을 뱉는 것과 같은 것으로 언젠가 자신의 목을 조르고 있었다는 것을 ...
변이들이 쌓여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20세기 초엽에 생물학에는 하나의 위기가 발생했고 이는 'R.A.피셔' 'S.라이트' 'J.B.S홀데인'이 집단 유전학을 정립한 1920~1930 년대에야 비로소 해결되었다.유전자가 개체군 사이에 어떻게 퍼져있는지를 연구하는 이 학문에 힘입어 다윈의 진화론은 ...
한라산에서 자라는 특산종이다. 많은 개체가 여기 저기서 자라고 있으므로 아직은 위기에 처한 종류라고 보지 않는다. 그러나 구름떡쑥이 자라고 있는 근처에서 자라는 깔끔좁쌀풀이나 한라솜다리는 사라지기 일보직전에 놓여 있다. 잘 보이는 종류보다 잘 보이지 않는 귀중한 종류에 대한 관심이 ...
점을 들지 않을 수 없다. 세계적으로 현재 2백80종의 포유동물과 3백50종의 조류가 멸종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호랑이는 말할 것도 없고,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영양(羚羊·산양)은 많은 고을의 토산물이었으나 남획과 서식환경의 악화로 지금은 이것을 찾아보기 ...
잘 아는 ① 인구증가 ② 자원고갈 ③ 식량부족 문제이다. 그런데 우리들이 제아무리 위기대책에 부심한다고 해도 우리의 지구는 50년밖엔 앞으로 인간을 안락하게 수용 할수가 없는 물리적인 한계에 도달 하게 된다는 우려가 있다. 이 싯점에 이르렀을때 우리들은 그자리에 앉아서 멸망의 새기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