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적으로 태양의 위치를 파악해서 황도 상의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보름달일 때, 특히 월식이 일어날 때 태양은 달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기 때문이다. 한편 천구에서 달이 움직이는 길인 백도는 황도와 약 5°기울어져 있지만 대체로 황도와 비슷하다. 해왕성 발견된 염소자리이번 ...
소은과 아마추어 무선통신의 매력에 흠뻑 빠져있는 광고창작과 2학년 남학생 지인. 개기월식이 일어나던 어느날 밤 전혀 불가능한 일이 마술처럼 일어나, 두사람은 21년이라는 긴 시간의 터널을 초월해 무전기를 통해 우연히 서로를 알게 된다. 이때부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두사람의 신비하면서도 ...
기준 값으로부터 앞뒤로 1단계씩 노출을 바꿔가며 촬영을 해두는 것이 좋다.처음으로 월식 촬영에 도전하는 사람은 슬라이드용 필름보다 노출이 부족하더라도 인화시에 어느 정도 보정이 가능한 네거티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3.지구 그림자를 찍어보자다중노출로 지구의 둥근 그림자 모습을 ...
지구의 모습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밝게 빛나던 보름달이 약간은 주황색으로 물들며 월식이 시작되었고 오른쪽 귀퉁이부터 조금씩 어두워지기 시작하더니 시간이 조금 더 지나자 과연 곡선 모양의 그림자가 달 표면을 조금씩 지나갔다. 만약 지구가 편평하고 납작하다면 외곽선이 직선 모양인 ...
같은 유적을 통해 알 수 있다. 스톤헨지는 태양뿐만 아니라 달의 움직임과 일식과 월식까지 예측하는데 사용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고대인들은 일출과 일몰 위치의 변화와 함께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태양도 별 사이를 움직여 간다는 걸 알아냈다. 태양은 매일 다른 별에 대해 동쪽으로 1도 가량 ...
1년 1월 10일 새벽에 볼 수 있다. 3. 리니어 혜성(1999S4)이 맨눈에 보일 만큼 밝아진다. 개기월식과 함께 올해 가장 주목을 받을 천문현상이 1999S4 혜성 리니어(LINEAR)의 등장이다. 리니어혜성은 지구 접근 소행성의 조기 발견 탐색 연구로 많은 소행성과 신혜성을 발견하고 있는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
우리말로 바꾸어 쓰고 있다.예를 들어 천문학 분야에서 북한은 혜성을 ‘살별’, 개기월식과 개기일식을 각각 ‘완전 달가림’과 ‘완전 해가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그들이 말하는 ‘남돌이’와 ‘제돌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각각 공전과 자전을 일컫는다. 앞서 수학용어의 차이를 비교할 ...
것으로 여겨지면서 우주에 대한 지식을 넓히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1월 31일-2월 1일: 반영월식(1월호 참조)18일: 초승달 금성 목성 접근귀갓길에 차창 밖으로 석양 속을 살펴보면 눈썹같이 가는 초승달과 금성, 목성이 삼각형을 이루며 걸려있는 매우 귀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초승달이 밝지 않아 ...
있다. 만일 달의 공전궤도면이 이처럼 경사져 있지 않다면 한달에 한 번씩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게 된다.달은 왜 곰보인가달을 보았을 때 검고 평평하게 보이는 지역을 ‘바다’라고 부른다. 이 지역이 어두운 색조를 띠는 이유는 현무암질의 용암대지로 돼있기 때문이다. 17세기 초의 관측자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