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처럼 보이는 일이 많다. 이를테면 하늘에 보이는 해와 달은 개기일식과 개기월식에서 보듯이 그 크기가 거의 비슷하게 여겨진다. 해와 달의 크기가 같아서인가? 아니다. 해의 지름이 달보다 4백배 크고, 그 거리가 달보다 4백배 멀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의 수학적 발견이 ...
후 삼각대에 고정시키고 월식 직전에 릴리즈를 사용해 셔터를 연후 그대로 방치해두고 월식이 끝나면 셔터를 닫는 것으로 촬영은 끝난다. 이때 장시간 노출이 되므로 필름은 감도 ISO 100 정도로 조리개는 F16으로 조여준다.이외의 방법은 망원경 등 장비가 필요하다. 이 방법은 촬영에 대한 책자 등을 ...
통과해 나간 적색의 빛이 조사돼 검붉게 빛난다. 이때의 달 모습은 매우 매력적이다. 월식은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감상이 가능하다. 망원경도 전면을 볼 수 있는 30~50배 정도의 저배율이 적합하며 그림자의 이동을 스케치하거나 연속적 촬영을 하면 훌륭한 기록이 된다.한편 달이 항성이나 행성의 ...
보조투영기(아스트로비전 등)의 발달로 별자리의 변화뿐아니라 여명 오로라 일식 월식 등 자연현상을 실제와 가깝게 재현해낼 수 있어, 학생들 천문교육에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우리나라에서 플라네타리움이 첫선을 보인 것은 지금부터 21년전 서울 어린이회관에서다. 그후 곧바로 ...
일부분만 가리는 부분일식이 있다. 개기일식은 자주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며, 월식과는 달리 관측되는 지역이 한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번 개기일식도 관찰가능한 본영(本影) 지역은 헬싱키로부터 요엔수에 이르는 지역(길이 4백60㎞)에 한정됐다.특히 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태양의 코로나 채층 ...
2반구도(半球圖)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체구조론에 의한 구중천설(九重川說), 일식과 월식의 그림, 천지의도(天地儀圖) 등이 그려져 있다.1602년의 목판본 세계지도는 다시 1608년에 그림과 채색을 넣은 필사본(筆寫本)으로도 제작됐다. 이 지도의 바다에는 배와 묘한 고기들을 그렸고, 땅에는 이상스런 ...
돌고 있다는 사실을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이보다 먼저 발견했다. 위도와 경도, 일식과 월식 현상도 알고 있었다. 또한 계절의 기간, 금성을 비롯한 모든 별들의 이동법칙을 소상히 파악하고 있었다.뿐만 아니라 콜룸부스의 신대륙발견 당시까지 유럽을 비롯한 세계 어느 지역에서 사용했던 것보다 ...
계산 조견수표(數表), 즉 '수시력첩법입성'(授時曆捷法立成)도 마찬가지다. 아울러 일식 월식의 예측계산법 등을 논한 '교식추모법' 등 갑인자로 인쇄된 책은 십여가지에 이른다.이 책들은 갑인 청동활자로 1434년에서 1450년 사이에 인쇄, 천문·역법 관련학자들과 관리들에게 나눠준 서적들이다 ...
위치를 알아볼 수 있다고 믿게 됐다. 한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바위의 배열은 석기시대에 월식을 예측할 수 있는 관측소의 역할을 담당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비슷한 예로서, 미대륙에서도 하지날 아침에만 햇빛이 갈라진 틈으로 새어들어와 내부를 조명해주는 장소들이 여럿 발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