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는 자신의 블로그에 ‘콜라츠 추측’에 관한 연구를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에 올렸다는 글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블로그엔 논문의 핵심 아이디어를 간략하게 소개했죠. 그런데 말입니다. 타오는 “콜라츠 추측에 거의 다가갔지만 여전히 손에 닿지 않는다”는 글도 ...
특정 개수 이상이 되면 규칙을 찾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2019년 12월 1일에 올라왔습니다.이 연구에서 다룬 규칙은 ‘다항식 수열’입니다. 다항식 수열은 n번째 항일 때 2+3n처럼 덧셈이나 곱셈을 이용한 점화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들의 집합을 ...
모형을 이용해 강아지 나이를 환산하는 공식을 2019년 11월 4일 논문 공유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했어. 이 공식을 따르면 기존에 21살쯤이라고 생각했던 내 나이는 48살이 돼. 어떻게 그렇게 되냐고? 이걸 이해하려면 먼저 후성유전학 시계가 뭔지 알아야 해. 비인간 동물들도 후성유전학 ...
슈퍼컴퓨터로 풀면 1만 년 걸린다는 주장은 말도 안 된다고 온라인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와 블로그를 통해 반박했어. IBM의 양자컴퓨터 연구진은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보니 같은 문제를 2.5일이면 풀 수 있고, 조건을 좀 더 개선하면 시간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어 ...
분야의 난제인 ‘카르탕-아다마르 추측’의 증명을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10월 7일 공개했습니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은 1900년대 초 프랑스 수학자 자크아다마르가 처음 제기한 문제로, ‘아다마르 다양체’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등주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
연구팀은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연구 결과는 10월 16일 ‘아카이브’에 올라온 것으로, 수학자들의 검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이 방법을 적용해 연구 중이며, 첫 번째 결과를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org)’에 2018년 6월 게재했다. 현재는 알고리즘을 정교하게 다듬는 중이다. 이 교수는 "게임의 래그 현상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좀 더 편리하게 컴퓨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연구들을 이어갈 것"이라고 ...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9월 7일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올라왔습니다. 이전까지 쌍둥이 소수 추측 증명에 가장 앞선 성과를 거뒀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유한한 범위를 잘 이해할 수 있다면, 정수 세계를 ...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이 수열은 비들과 루비브가 2017년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공개한 논문에 나와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 두 수학자는 이 수열 외에는 항상 길이가 절반 이상인 롤러코스터 수열이 있지 않겠냐고 추측을 했습니다. 5월의 결과는 바로 이 추측을 해결한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