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하고 있고, 인공지능 스피커까지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흥행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아날로그 방식의 무전원스피커였다. 사소한 불편함이 만든 리슨리슨은 작은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탄생했다. 리슨 개발자인 플러스라인 우정석 대표는 요즘 편리하게 사용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조차 ...
화성인의 생활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일명 ‘하와이 우주탐사 아날로그 및 시뮬레이션 탐사 프로젝트(HI-SEAS)’. ‘마션 인 하와이’인 셈이다. 2013년에 시작해 올해가 벌써 다섯 번째다. 그간 24명의 ‘화성인’이 하와이의 화성 기지를 거쳐 갔다. 하와이의 마우나 로아 지역은 ...
‘코딩’이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지끈한 친구들 있죠? 하지만 ‘E-센서로봇’과 함께라면 어렵고 복잡하게만 느껴지는 코딩을 쉽고 즐겁게 배울 수 있어요! 섭섭박사님과 기자단 친구들이 함께 만든 E-센서로봇을 보며 코딩의 즐거움을 느껴 봐요!
해요. 약 80g의 무게로 ‘다이나택 8000x’에 비하면 10배나 가벼워졌답니다. 이후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적용된 다양한 ‘스타택’ 모델이 나왔어요.이후 노키아에서 슬라이드폰 ‘노키아 8110’을, IBM에서 스마트폰 ‘IBM 사이먼(Simon)’을 개발했어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휴대전화도 나날이 ...
디스플레이가 등장하기 전까지 우리는 태양빛이나 실내조명에 의해 반사돼 보이는 ‘아날로그 색’만 봐 왔지요. 그런데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등장하면서 같은 사진도 다른 색으로 보일 수 있게 된 겁니다.그렇다면 색의 기준을 여러 가지 화면 중 무엇으로 잡아야 할까요? 아니면 객관적으로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가 되는 거예요.HMI는 시각이나 청각, 움직임 등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세계를 디지털 정보를 처리하는 기계·컴퓨터 세계와 연결하는 기술을 말해요.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마우스나 키보드가 대표적인 HMI에 속하지요.메소드-2도 마찬가지예요. 조종석에 있는 조종기를 ...
신호로 작동하는 디지털 방식인 데 비해 우리 뇌의 신경세포는 연속적인 값을 이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한다. 알파고처럼 뇌를 모방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주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디지털 컴퓨터로 작동시키는 방식을 활용한다. 하지만 연구팀은 하드웨어 자체가 뇌처럼 작동하게 만드는 ...
광소자에 기록했다가 SLM프로젝터로 재생하면 3D 디스플레이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이는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의 장점과 디지털 동영상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병호 교수팀은 홀로그래피 기술로 렌즈를 일정한 간격으로 새긴 ‘씨스루(See-through) 스크린’을 제작해 지난해 8월 ...
만드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신호는 로봇 의수에 내장된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신호 변환기)를 거쳐 의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만들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어떤 신경이 신호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알아내서 손목이나 손가락에 연결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