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 위험하지는 않을까요?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으면 블랙홀이 만들어져 우리가 사는 시공간을 구부러뜨릴지도 모르니까요. 다행히도 핵물리학자가 만드는 미니 빅뱅은 강력한 블랙홀을 만들기엔 지나치게 귀여워요. 밀도만 높을 뿐, 크기는 야구공보다 약 1조 배나 작기 때문이에요. 총 에너지가 ...
2020년 언택트 시대에 인류는 구름 깊숙한 곳에서 훨씬 더 놀라운 일을 도모하고 있다. 시공간 제약 없이 코로나19 공동연구 CORD-19 서치“우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한 클라우드를 만들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연구자들이 클라우드의 힘을 빌어 연구의 ...
‘중력렌즈 현상’이라고 불러요. 특히 지구처럼 질량이 작은 천체의 중력이 근처 시공간을 휘게 하는 현상을 ‘미시중력렌즈 현상’, 렌즈의 효과를 만들어 낸 천체를 ‘렌즈’라 부릅니다. 지구로 빛이 다가올 때 앞에 렌즈 역할을 하는 천체가 있다면 빛이 휘어 관측자에게 더 강한 빛으로 ...
정확히 포착할 수 있도록 측정 장치에 기록된 잡음을 분류하는 일입니다. 라이고는 시공간이 10-18m 수준으로 변하는 것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정밀한 장치기 때문에 다양한 잡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연의 일치로 관측 장치의 양쪽에서 동시에 잡음이 발생하면 우주에서 온 신호로 오해할 수 ...
많이 나와 있긴 하지만, 시공간적 정확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물론 시공간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정확도가 높아질수록 계산 시간이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쉽진 않아. 무한정 시간을 늘릴 수는 없어 정확도를 계속해서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거든. KIM이라는 새 ...
멀어지는 빛은 그 반대가 된다. 연구를 주도한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은 “중력이 시공간의 구조를 왜곡시킨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시각화하는 데 이번 시뮬레이션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관측하여 블랙홀의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어요. 블랙홀의 강한 중력은 주변의 시공간을 휘어 지게 만들어요. 이곳을 지나는 전파의 경로가 휘 어져 블랙홀을 감싸면서 블랙홀의 윤곽을 드러낸 답니다. 이 윤곽 안의 어두운 부분을 ‘블랙홀의 그림자’라고 해요. EHT 연구팀은 전파로 블랙홀의 ...
1915년 발표된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큰 천체는 강력한 중력으로 주변의 시공간을 왜곡시켜 빛의 경로를 휘게 만들어요. 그렇다면 중력이 정말 강해서 빛이 탈출할 수 없는 정도로 강한 천체가 있다면 어떨까요? 그렇게 무거운 천체는 아무리 빛을 내뿜어도 빛이 다시 되돌아올 테니 ...
1년을 가야하는 거리)이다. 고도의 과학 문명을 지닌 외계생명체가 웜홀 같은 뒤틀린 시공간을 이용해 왔을 수도 있으나, 그 정도의 비용과 노력을 들여 온 것치고는 활동과 성과가 너무 없다. 그렇다고 그들과 접촉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다는 뜻은 아니다.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문명을 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