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예로는 8온스(=1컵), 8파인트(=1갤런), 8갤런(=1부셸), 8펄롱(=1마일) 등이 있어.8이 2의 세제곱이라는 성질은 팔괘 이론과도 관련 있지.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같은 동북아시아에서는 오래전부터 8에 대한 독특한 믿음이 있어. 이 중에서도 8개의 괘로 우주를 설명하는 팔괘 이론은 중국철학의 ...
표면적의 비’의 개념을 알 필요가 있다.면적은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고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커지게 된다. 이 비가 클수록 마찰저항이 커져 가라 앉는 속도가 줄어든다. 즉 식물플랑크톤은 작아야 빛이 잘 드는 표층에 오래 머물 ...
폭을 직접 재는 대신 역시 비례식을 써서 몸무게(M)로 대체했다. 즉 몸무게는 혀의 폭의 세제곱에 비례한다(M∝R3, 혀의 폭은 몸길이에 비례하므로). 따라서 초당 혀의 왕복횟수가 혀의 폭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면(f∝1/R1/2) 몸무게에는 6분의 1승에 반비례한다(f∝1/M1/6≈1/M0.167). 실제로 동물원에서 ...
안치수로 구하지요.이것을 바로 ‘들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들이의 단위는 cm나 m를 세제곱한 것도 쓸 수 있지만 간편하게 나타내기 위해 리터 L를 사용합니다. 1L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 용기에 액체가 가득 찼을 때 액체의 부피를 말합니다. 물론 안치수로요. 그러면 1L=10cm×10cm×10cm=1 ...
모두 함수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함수는 고대 바빌로니아표(곱셈표, 역수표, 제곱과 세제곱표, 지수표)에서 시작됩니다. 함수의 유래는 천문학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달과 별 등의 천체 주기를 관찰하고 관찰된 위치의 주기적인 변화를 연구한 것에서 시작했습니다.17세기쯤 여러 가지 운동 ...
거리의 로그 값의 비가 1.5라는 것을 발견했다. 행성 공전주기제곱이 궤도 반지름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로그가 천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해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는 “로그의 발견으로 천문학자의 수명이 두 배가 됐다”고 말할 정도다. 이처럼 로그는 컴퓨터가 보급되기 전까지 ...
한 모서리의 길이를 얼마로 해야 하는 겁니까?철학자 : 글쎄…. 그게….석공 : 그런데 ∛2(세제곱근 2)는 약 얼마입니까?과학자 : 그것은 무리수라서 딱 떨어지는 수가 아닙니다. 대신 근삿값인 1.26m를 사용해야 합니다.석공 알겠습니다.석공이 만든 정육면체 모양의 돌을 사제가 신전에 바치자 신의 ...
2.5배 조금 넘게 커지지만 부피는 무려 16배나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해 커지기 때문이다.뻥튀기 쌀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뭘까? 뻥튀기 기계 안에 쌀을 넣고 압력을 높이면 기계 안의 온도도 따라 올라간다. 압력과 온도는 비례해서 높아지기 때문이다. 높은 온도에서 ...
경찰에게서 쪽지를 건네받는다.“512 = 8 × 8 × 8, 8 = 5 + 1 + 2! 각각의 자릿수를 더한 수의 세제곱이 원래의 숫자를 만드는 수로군. 이런 수들 중 가장 큰 네 자릿수를 찾으라는 건가. 경감님, 리버풀을 드나드는 모든 배편을 조사해주세요. 항구도시인 리버풀이라면 일단 배와 관련된 화물이나 사람일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