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의 평균 반지름)를 사용하면 식 (9)는 단순히 ${P}^{2}$=${a}^{3}$ (10)이 된다. 즉 식 (6)의 상수는 마술처럼 1이 되는 것이다. 지구의 경우 P=1, a=1이므로 이는 쉽게 확인된다. 또 예를 들면 목성의 경우 P=11.86, a=5.20이므로 식 (10)의 양변은140.6 정도로 같아진다. 식 (9)가 우리 태양계의 경우 식 (10)처럼 ...
Gm1m2/r² (8)의 서로 끄는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G는 등식을 유지시켜 주는 상수, 만유인력 상수이다. 따라서 질량이 m인 어떤 물체와 질량이 M인 지구 사이에도 F=GMm/R² (9)인 만유인력이 작용한다. 여기서 R은 지구의 반지름이다. 여기서 지구의 총질량은 마치 지구의 중심에 다 모아져 있는 듯이 ...
α2는 α1 보다 작아지는 비율이 높다. 거리 규모가 ${10}^{-29}$㎝일 경우세 세 결합상수는 한 점으로 모여져서 통일된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세 힘 통일이 이루어진 것이다. 아직도 멀고 먼 길대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에너지 값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소한 ${10}^{15}$GeV 정도는 필요한 것으로 ...
적이 있다. 그는 컴퓨터의 최대 정보처리속도를 ${MC}^{2}$/h(M=질량, C=광속, h=플랑크 상수)라고 계산했다. 이 식에 따르면 최고 성능의 1g짜리 컴퓨터는 1초동안 ${10}^{47}$비트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 컴퓨터조차 체스를 두기에는 불충분하다고 한다. 체스의 무수한 변수를 감안하면 ...
하며 중력상수 G는 주위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정말로 상수여야만 한다. 중력상수는 우주의 평균 정지계에 대한 지구의 속도에 독립적이며, 은하계 중심같은 물체의 응집과 관련있는 특별한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지구에서의 간만의 차이와 회전율의 지구물리학적 관측에서 ...
정지우주모델에는 이론 물리학적으로 중대한 실수가 하나 있었다. 만일 그가 우주상수 없는 일반상대성의 원본 해석에 충실했다면 아마도 우주가 확장되거나 붕괴됨을 예언했을 것이다. 슬리퍼(Slipher)와 허블(Hubble)은 우리 자신의 은하계 별들로부터 오는 빛을 관측한 결과 똑같은 사실을 알게 됐고 ...
1, 2, …에 대해 |${x}_{i}$|≦C인 상수 C가 존재하면 이 무한수열을 유계라고 한다. a>1인 상수 a가 주어졌을 때, i≠j인 모든 i, j=0, 1, 2, …에 대해 |${x}_{i}$-${x}_{j}$| |i-j|a≧1을 만족시키는 유계인 무한수열 ${x}_{0}$, x₁, x₂, …의 예를 만들어라.제한시간 : 4.5시간문항당 ...
밀어서 하는 일만큼 에너지가 감소해 에너지밀도가 내려간다. 그런데 진공의 경우 우주상수 Λ에 비례하는 일정한 에너지밀도가 깔려 있으므로 팽창한 부피에 비례해서 에너지가 증가하지만 에너지밀도에는 변함이 없다. 마치 칭기즈칸이 병사들의 배를 굶주리게 하지 않고 부유한 영토를 확대시킨 ...
독성이 있으며 강에서 서서히 분해되므로 수질오염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강물이 다시 상수원으로 사용된다고 하면 분해되지 않은 계면활성제는 우리에게 다시 돌아올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를 적게 사용할 수 있다면, 독성이 없고 미생물에 의해 빨리 분해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