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데라를 중심으로 반경 약 60㎞ 지역의 지표면을 백색 부석층으로 덮고 있어 아마 백두산이란 이름이 생긴 것이라 생각된다. 부석층이 두꺼운 것은 40m를 넘는 데도 있지만 평균 약 10~20m로 측정되며 어떤 의미로서는 큰 자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백두화산의 정확한 활동시기는 잘 알 수 없으나 ...
1천m 내외의 산체를 만들고 넓게 그 치마자락을 씌워 산줄기들을 지배하듯이 군림한 백두산에서 뻗어 내린 태백산맥을 알아보자. 10대1의 경사도를 보이는 태백산맥 태백산맥의 특징은 '10대1'이란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서울서 대관령 꼭대기까지는 직선거리로 약2백㎞인 것.남미의 안데스산맥은 ...
최소한 2개의 화구가 관찰된다. 제주도는 어떻게 이루어졌나 제주도는 지질연령면에서 백두산 울릉도 등과 함께 한반도에서 가장 젊은 나이를 갖는 곳이며, 섬 전체가 화산활동에 의해서 분출된 물질만으로 이루어진 큰 화산도이다. 그리고 화산의 원지형이 그대로 많이 남아 있어 국내외의 많은 ...
한명도 없다는 얘기다.만약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화산이 폭발한다면 아마도 그 지역은 백두산과 한라산 울릉도 개마고원 그리고 서울에서 원산에 이르는 추가령지구대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이처럼 화산에 관한 불안스러운 진단에도 불구하고 한가지 위안을 주는 것은 화산현상을 ...
불린다. 남북이 1천㎞, 동서는 넓은곳이 4백㎞에 이르는 광활한 평원이다. 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発源)하여 북서로 흐르다가 길림성 북서부에서 연강을 합친 뒤 북동으로 유로를 바꿔 목단강(牧丹江·무딴강)과 합치고 다시 흑룡강성 동부에서 흑룡강과 합류된다.한편 우수리강은 동부 ...
, '과학조선'(科學朝鮮)등 과학지들이 뒤를 이어 창간되었다. 백두산은 과학진흥단체인 백두산이학회(白頭山理學會)가 발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소년과학지였다. 과학을 동화나 역사물을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꾸며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심어 주려고 노력한 이 잡지의 체제는 오늘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