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대군락을 볼 수 있는 것이다.높은 지대의 습원이 발달한 곳은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볼 수 있다. 습원에 나타나는 여러 철쭉과 식물 홍월귤 들쭉 구름송이풀 석남종류 물이끼 석송 황새풀과 백두사초 등 남부에서 볼 수 없는 학술식물자원들이 전개되는 것도 특기할만 ...
호수가 생겼었다는 학설과도 앞뒤가 맞는 얘기다.울릉도(독도포함)는 한반도내의 제주도 백두산 추가령지구대에 분출하는 알칼리화산암류와 함께 제4기(紀)에 속하는 화산도이다. 울릉도에서 발견되는 암석의 산출상태와 암질(岩質)의 특징에 의해 구분된 화산암층은 크게 5단계의 화산활동기가 ...
산이 많고 남북으로 길게 뻗은 지형과 여름철에 비가 많이 오는 기후는 다양한 식물분포를 가져왔다.제주도에서 백두산까지 4천여종의 꽃과 나무들이 살아가는 식물세계의 내막을 살펴본다.
1천6백m이상, 지리산에서는 1천5백m 이상, 설악산과 금강산에서는 1천4백m 이상, 관모봉과 백두산에서는 1천2백m 이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고산식물은 약 4백여 종류로 전체 야생식물의 1할에 해당한다 ...
북부와 비슷하여 조류상은 한국 저지소구와 크게 다르다. 즉 멧닭, 세가락딱다구리 백두산쇠오색딱다구리 북방쇠박새 개미잡이 등은 저지대소구에서는 볼 수 없다. 북꿩과 점백이멧새 등은 고준지대와 인접한 고산지대에 분포되었다. 한국저지소구 : 고지소구 이외의 저지대 전체를 포함하는 이 ...
우수리사슴 대륙멧돼지이다. 포유동물 이외에 이 소구에는 조류의 북꿩 들꿩 멧닭 백두산오색딱다구리 세가락딱다구리 개미잡이, 파충류의 북살모사 까치살모사, 양서류의 북방산개구리 등 북방형의 종들이 분포한다. 한국서남 소구는 동북 소구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이며, 여기에 서식하는 ...
호랑이 산지로서 알려져 지금도 '코리언 타이거'하면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으나, 현재는 백두산 줄기에만 소수가 남아있고 그밖의 지역에서 보기 힘든 실정이다. 한국의 호랑이는 이전에는 만주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등과 더불어 별개의 아종으로 분류했었으나 지금은 통틀어 시베리아호랑이로 ...
북한 지역에서는 1960년대까지 평북과 함남 등지에서 포획됐을 뿐이다. 현재 호랑이는 백두산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남한에서는 절종된 것으로 보이나 최근 강원도의 양양군과 평창군 사이의 북오대산 매봉산일대에 2마리가 살고 있다는 설이 있어 극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낼 ...
녹색부분이 산지를 나타내고 희끗희끗한 부분은 평야지대를 보여준다. 백두산 일대 흰부분의 중심은 천지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