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어야 하고, 몸집이 작은 딱다구리 한쌍도 7㎢의 보존된 숲이 필요한 것이다.그러기에 백두산에서 인왕산까진 지맥이 연결됐던 조선조에는 호랑이가 인왕산까지 내려 올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이다.일제시대 일본인들은 철저히 우리 풍수지리설을 연구해 제일 중요시 여기는 지맥 끊기에 ...
みくリガ池)는 화산 폭발에 의해 생긴 고산호수(둘레 6백m, 수심 15m)로 우리나라의 백두산 천지를 연상시킨다. 여기서 15분쯤 더 가면 지고쿠타니(地獄谷)가 있는데 아직도 화산연기를 내뿜고 있다. 빙하기부터 살아온 새 라이쵸 무로도에서는 귀한 새를 볼 수 있다. 라이쵸(雷鳥)가 그 새인데, ...
한 쌍을 중국으로부터 들여 올 계획을 추진 중인데, 비록 북한지역이 아닌 중국측의 백두산에서 잡은 것이거나 그 후예라면 학문상으로야 어떻든 우선 국토의 최근거리에서 얻은 개체란 것만으로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 호랑이는 그 지역 접경에서 교류하고 있는 것이고 보면 굳이 어디 ...
전까지 평야에 가까운 준평원이었다. 이 준평원이 솟아올라 오늘날의 고원지대를 만들고 백두산 지역에서 큰 화산이 폭발했던 것.한반도의 척량산맥으로 불리는 태백산맥도 개마고원과 거의 같은 시기에 솟아오른 일종의 고원지대. 태백산에서 두타산 황병산을 거쳐 오대산에 이르는 고원지대가 ...
말기까지만 해도 북한강 등에 10여마리씩 나타나는 겨울 철새였으나, 그 뒤 모습을 감춰 백두산 천지와 마양저수지 등에만 1백마리 안팎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이번에 나타난 호사비오리는 수놈 한마리가 암놈 두 마리를 거느리고 냇가에서 정겹게 노닐고 있었다. 이 사진을 본 ...
잠재자연식생은 크게 다섯 가지로 대표된다. 남해의 해안 저위도 지역에서부터 백두산의 고위도에 이르기까지 난온대-상록수림, 온대-낙엽수림, 냉온대-낙엽수림, 한온대-침활혼합림, 아고산-침엽수림의 순으로 수평적 배열을 보여주는 숲의 사회다. 이것은 각 지역의 지리와 지형에 따라 ...
있다는 점. 이에 대해 관계자들은 "설악산이나 동해안 제주도, 심지어는 중국을 통해 백두산까지 다각도로 접근해 우리의 자연을 담으려 노력했다"고 밝히면서 "그러나 전체적인 주제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자연이나 동식물이 주연으로 등장하기는 질적 양적으로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고 ...
들면 이민을 간 사람들이 고향의 흙을 간직하고 때때로 꺼내보면서 오열하는 것이나, 백두산의 흙과 한라산의 흙을 섞으면서 통일을 염원하는 행위 등은 우리 민족의 정서에 비추어 볼 때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전인구의 70% 이상이 도시생활을 하고 있는 이른바 산업사회에서도 흙을 '옷을 ...
보호요청을 했다. 90년에는 12명이 백두산 식물생태계를 집중 탐사하기도 했다(5일 동안 백두산에서만 머물며 북방계식물의 생태를 사진에 담았다). 사진과 표본 씨앗 등을 중심으로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부족한 정보를 보충하기도 한다. 회원들 중에는 자기가 다니는 직장에 수목원을 만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