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부활까지 물리학을 완성한 250가지의 아이디어를 모은, 속이 꽉 찬 ‘물리학 백과사전’이다(백과사전 치고 얇다!). 동네 서점에서 할 일 없이 거닐다가 우연히 발견한, 반짝이는 보석 같은 느낌. 어렵지도 않다. 각 항목을 한 두 쪽 내외의 쉬운 글로 풀어냈다. 게다가 재미있는 비화가 가득하다. ...
쓴 ‘자산어보’의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자산어보는 우리나라 해양 생물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선박사실에서 우리나라 전통 배인 ‘한선’의 역사를 살펴보고, 선사시대부터 1900년대 고기잡이배까지 우리나라 배의 역사를 공부하기도 했답니다 ...
바이오필리아·생물다양성·통섭 등 과학과 인문학을 엮는 개념을 고안했다. 온라인 생명 백과사전으로 생물다양성 연구에 필요한 기술 발전에도 공헌했다. 20권이 넘는 과학 명저를 저술해 퓰리처상도 두 번이나 받았다.그런 대가가, 당신에게 말을 건다. ‘젊은 과학도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책을 ...
거북선은 세계 최초의 철갑선이 아니다?영국이 만든,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거북선을 ‘세계 최초의 철갑선 군함’이라고 소개하고 있다더군. 허나 거북선에 철갑을 씌웠다는 증거가 없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오. 아무래도 철갑선이라는 주장과 ...
군사, 기계, 지리, 항해술 등에 쓰이는 수학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즉, 17세기에 쓰여진 백과사전식 수학교과서였던 셈이다.이 책은 1634년 처음 나온 뒤, 1644년에는 두 번째 판이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다. 특히 여러 수학자들의 논문이나 수학자들끼리 주고 받은 편지에도 이 책에 대한 ...
다음은 신 58절에 나오는 구절이다. 출처를 에드몽 웰즈의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이라고 적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책의 저자가 베르베르 자신이다. 142857은 숫자 9와도 관련이 깊다. 이 수에 7을 곱하면 999999가 된다. 142857을 세 자리씩 나눠 더하면 142+857=999이고, 두 자리씩 나눠 ...
묘비를 보고 감명을 받아 썼을 가능성도 있다.그런데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는 온라인 백과사전인 영어판 위키피디아에는 ‘에 실린 디오판토스에 관한 일화는 사실인지 아닌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을 영어로 번역한 책을 살펴보니, 그 ...
내용에 창의력을 더해 재미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지. 신문, 편지글, 만화, 미로찾기, 백과사전 같은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돋보였단다. 다들 피곤한데 숙제(?)까지 시킨다며 투털거렸지만 그래도 추억을 특별한 방식으로 남길 수 있어서 좋았을 거야! 이번 기사와 자신이 만든 포트폴리오를 보며 ...
임진왜란(1592~1598) 전후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한다. 1614년 이수광이 편찬한 한국 최초의 백과사전 ‘지봉유설’에서는 일본에서 유래돼 ‘왜겨자’라고 부른다고 했으나, 일본의 기록인 ‘대화본초’ ‘물류칭호’ 등에서는 거꾸로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당시 세계를 돌아다니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