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DNA)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이 mtDNA는 세포핵 밖에서, 세포의 에너지를 생성·공급하는 미토콘드리아 속에 있는 유전자다. 진화하는 속도가 다른 어떤 세포핵 내 유전자보다 빠르다. 또한 mtDNA는 난자의 생성을 통해서 오직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만 전달이 되며, Y 염색체와 같이 DNA 사슬끼리 ...
뒤 AZT에 저항성을 갖는 돌연변이가 생겨나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AZT는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약물 치료시 부작용이 심각하다. 이와 더불어 HIV가 갖고 있는 단백질절단효소(protease)의 기능을 억제하는 약물이 개발돼 현재 임상 실험중에 있다. 이 경우에도 저항성을 ...
미생물이 없다면, 혹은 세포내부에서 발전소 역할을 하여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없다면 사람은 어떻게 되었을까를 생각하는 것과 유사하다는 것이다.균류와 어틴개미의 관계에 관한 연구결과는 실용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가위개미는 열대 지방에서는 식물질을 재활용하는 데, ...
이와 관련된 연구성과들도 상당히 쌓이고 있다.산소 자유기는 세포내 공장에 해당하는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발생한 에너지를 이용,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3만여종의 단백질을 합성해내는 과정에서 하루에도 수십억개씩 배출해내는유독성 부산물이다. 우리 몸에는 자연 방어기능이 있어 이를 ...
해석해 비교하면 개체나 집단에 어떤 순서로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추적할 수 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DNA의 변화를 추적하는 일은 이 목적에 잘 부합된다.과거 베링해협이 연결돼 있을 때 몽골리안이 북미대륙을 건너서 수 만년 사이에 캐나다로부터 남미대륙 남단까지 분포하여 인디언과 ...
하나의 성이 어떤 경우는 +, 어떤 경우는 -로 작용해야 한다. 이때 혼동을 일으키면 미토콘드리아 전쟁의 위험성이 생긴다. 결국 두가지 성만을 가지는 이유는 만약 더 많은 성이 있다면 삶이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이다.생식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내 유전적 갈등은 모체의 자궁에서 자라는 ...
그의 유전적 형태가 현대 유럽인들의 유전적 변이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의 형(形)으로 보았을 때 중부 및 북부 유럽인들과 가장 가깝다고 한다.연구에 참가했던 옥스포드 대학 유전학자 브라이언 사이크스(Bryan Sykes)박사는 "'얼음 인간'의 친척들이 북부 유럽에 수없이 많이 ...
에너지를 공급받고 호기성 세균은 먹이와 서식처를 제공받는 공생관계가 지속된 결과로 미토콘드리아가 세포 내부에 자리잡게 되었다는 주장이다.한편 엽록체는 녹색식물의 세포 안에서 광합성이 진행되는 부분이다. 엽록소는 광합성세균의 유물이라는 것이다. 광합성은 태양빛, 공기중의 ...
이주어진 것을 말하므로 결국 아프리카 현생인류의 기원지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 속도를 계산해 '이브'는 약 20만년 전쯤에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결국 현생인류는 아프리카의 한 여인에서부터 약 20만년 전에 시작돼 세계 각지로 퍼져 나가게 됐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