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자생물학과 △ 유전자공학과 등을 들 수 있다. 학문의 발전단계로 볼때는 미생물에서 동·식물로, 그리고 마지막에는 인체 특히 뇌를 연구하는 신경생물학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불과 10여년의 연륜을 갖고 있는 유전공학은 생명을 다루는 어려움과 거액의 연구비 때문에 선진국에서 주로 ...
현상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성적좋은 여학생이 전산학을 비롯하여 유전공학 분자생물학 미생물학 등 지금까지 소홀히하던 분야를 골고루 택하고 있는 것이다. 기계·건축분야도 그런 의미에서 남성의 아성이라는 장벽이 무너질 것이다. 앞으로 하이테크화되면 될수록 힘들고 여성이 못하던 것이 ...
면접고사는 합격, 불합격의 참고 자료로만 활용한다고 한다. 신설학과는 자연대학의 미생물학과(40명) 의예과(30명·후기), 조형대학의 시각디자인학과(40명)생활미술학과(40명)이며, 조형대학의 경우 학력고사를 40% 반영하는 반면 실기고사 30%가 추가된다. 야간 신입생을 모집하는 이공계학과는 ...
가운데는 1955년 소아마비 백신을 개발한 '조너스 솔크'를 비롯하여 세계의 이름난 미생물학자와 면역학자들이 거의 모두가 망라되어있으며 머크, 쉬론, 시바-가이지, 존슨 앤드 존슨등 세계의 유명 제약회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지난 봄 파리의 '피에르 에 마리 퀴리' 대학의 ...
과제와 도전의욕을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매우 인기 지망도가 높은 학문이기도 하다. 미생물학의 연구 분야는 무척 넓고 다양해서 많은 숙련된 연구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생물학도들의 진로를 살펴보면 각급 학교의 교수진, 민간 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등 국공립 연구소, ...
우리나라 사람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것이다.이 발견의 주인공이 바로 고려대 미생물학과 이호왕(李鎬汪·58)교수. 올해 처음으로 제정, 최근에 발표한 인촌(仁村)상(각 부문 상금 2천만원) 학술부문 수상자이다. 50~60년대의 뇌염연구와 60년대말부터 시작 76년 한탄바이러스, 80년 서울바이러스 ...
손상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재료의 개발을 말한다.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미생물 계통의 발효과정에 대한 연구가 조금 있을뿐 김치에 대한 종합적익 과학적이고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뒤늦게나마 김치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 보건 사회부 산하 국립보건원 ...
이들은 이미 기초연구를 끝내고 대량생산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이중에서도 미생물을 이용한 항생제의 대량제조기술은 오래전에 확립되었다. 이미 시판되고 있는 인터페론은 78년에 1회 투여량의 인터페론값이 3만달러에 순도가 1% 미만에 머물렀으나, 83년에는 인터페론값은 3백달러 수준으로 ...
작용기전을 물리화학적으로 구명코자 하는 물리약학, 미생물에서 항생제를 찾아내는 미생물 약품화학 등도 근래 발전된 약학의 중요 연구분야이다.공급 달리는 약학 인력양자역학의 거장인 '슈뢰딩거' 박사는 그의 수기에서 "나는 다시 태어난다면 생명과학을 연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