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어과동 친구들!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푹푹 찌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푸푸와 함께 북태평양 지역으로 놀러왔어. 모래집도 짓고, 튜브 타고 파도를 즐기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지.그런데 해안가 절벽 끝에서 무언가 움직이는 게 보이기 시작했어. 궁금해서 푸푸와 ...
아르마딜로는 갑옷처럼 생긴 등껍질을 두르고 있는 동물로 유명해요. 이 모양새 때문에 ‘무장한’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아르마도(armado)’에서 이름이 유래됐지요. 피갑목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로, 주로 작은 곤충이나 나무 뿌리,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살아요. 나쁜 시력 대신 뛰어난 후각과 ...
안녕~, 어과동 친구들!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갈라파고스 섬으로 여행을 갔다가 처음 보는 새를 발견했어. 다른 새와 달리 이 새는 몸집보다 훨씬 작은 날개를 갖고 있어. 또, 특이하게도 태양을 향해 날개를 양옆으로 펼치고 있더라고. 이 작은 날개로 하늘을 날 ...
가끔 한강이나 도시의 호수 등 도심에서 발견되는 야생동물인 수달은 동물계 대표 ‘귀염둥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고대에는 수달이 지금과 달리 턱이 훨씬 강하고 포악한 육식동물이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잭 쳉 미국 버팔로대 박사팀은 컴퓨터 모델링을 이용해 현존 ...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수학자가 되셨나요?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반가워요! 저는 병역 의무로 모 회사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한 적이 있어요. 하지만 재미가 없었어요. 자기만족을 조금 더 중요하게 여겨서 전역한 뒤에 수학을 열심히 공부해 보자고 다짐했어요. ...
10평 남짓 될까. 말 그대로 아수라장이었다. 책상만 8개, 각양각색의 스티로폼 모형이 놓여 있었다. 어떤 건 미완성이라 깨끗한 반면, 어떤 건 누군가 애써 붙여 놓았을 나무와 사람 모형이 다 쓰러져 달랑거리고 있었다. 모형일 뿐인데, 실제 도시의 흥망성쇠가 보이는 듯 했다. 소신있게 건축학도 ...
수술 중 피가 부족한 사람은 수혈을 받고, 장기가 손상된 사람은 장기를 이식받는다. 그렇다면 만성 장염에 시달리는 사람은 무엇을 이식받으면 될까. 정답은 바로 ‘똥’이다. 아직 놀라지 마시라.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는 옛말을 교훈 삼아 최근 국내에서는 건강한 똥을 저축하는 은행도 ...
정자의 수명이 자식의 생식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와 스웨덴 웁살라대 공동연구팀은 수명이 긴 정자는 수정 성공률이 높고 자손의 생식력도 더 높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10일자에 밝혔다. 한 번의 사정에서 나온 정자의 생식력은 같다고 알 ...
아마추어 화석 수집가 프랜시스 툴리(오른쪽 사진)가 1955년 여름, 미국 일리노이 주 마존 강 화석 지층에서 화석 수집을 시작했을 때, 그는 자신의 이름이 고생물학 역사에 영원히 새겨질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진흙 더미를 샅샅이 뒤졌고, 특이한 돌덩이 두 개를 발견했다. 조각난 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