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 제주도, 한탄강, 성류굴…. 작년 1월부터 저와 함께 한 지질여행, 어떠셨나요?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시기에 만들어진 다양한 지질 현상의 증거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관심이 없다면 이런 증거들은 쉽게 훼손되고, 사라져버리고 맙니다. 제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 슬로베니아 ...
경상북도 울진군에는 성류굴이라는 석회동굴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일반인에게 개방된 동굴로, 여러분도 언제든 성류굴을 둘러볼 수 있지요. 그런데 성류굴에서 지질학자들의 흥미를 끄는 것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성류굴 호수 속에 잠긴 커다란 종유석과 석순이지요. 동굴 천장에 ...
그렇게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긴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죠.1831년에는 영국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외르스테드의 실험을 재현하는 와중 이전과는 반대로 자기장이 변할 때 전기가 나온다는 사실, 즉 전자기 유도 현상을 알아냈어요. 이후에는 전기와 자기가 한 몸처럼 움직인다는 것도 ...
많은 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연구실의 학생들과, 나아가 전 세계 이론물리학자들과 실험물리학자들이 함께 토론을 거듭하며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론을 만드는 경험을 쌓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런 경험이 학생들에게 엄청난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입자 찾기 위해 검출기 ...
직접 흐르지 않아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통신을 말해요. 1896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무선전신기를 발명해, 전파를 발생시켰다 멈췄다 하며 모스 부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에 성공했어요. 이것이 무선 통신의 시작이에요. 덕분에 선으로 연결될 수 없는 배나 비행기도 ...
※편집자주. 우연히 블랙홀과 함께 밥을 먹을 순 없겠죠? 이해를 돕기 위해 블랙홀이 항성을 흡수하는 과정을 식사에 빗대 설명했습니다.블랙홀과 식사를 함께했다. 더 알아가고픈 사람이 있을 때 우리는 함께 밥을 먹는다. 식탁 위에선 상대가 어떤 사람이고 뭘 좋아하는지 속속들이 알 수 있다. 그 ...
IPMU)에서 연구했으며 2010년 일본 소립자물리학회가 수여하는 젊은 이론입자 물리학자 상을 받았다. 우주선과 암흑물질, 초기 우주의 힉스 인플레이션을 연구하며, 궁극의 물리학 이론을 찾고 있다. sc.park@yonsei.ac ...
강원도 태백시에는 구문소라는 멋진 연못이 있습니다. ‘구문’은 구멍의 옛말로, 흐르는 강이 절벽에 구멍을 뚫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멋진 모습으로 조선 시대부터 명소로 알려졌는데, 구문소는 지질학자에게도 유명합니다. 구문소 주변의 석회암에서 과거 이곳이 매우 건조한 바 ...
앞선 2002년에는 지금은 고인이 된 미국의 물리학자 레이먼드 데이비스 교수와 일본의 물리학자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가 태양과 초신성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를 관측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태양에서 온 중성미자가 관측될 확률은 1조분의 1(지구를 통과하는 중성미자 1조개 중 1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