것이다.이같은 자연현상의 변화는 곧 좋은 실습거리 돼 생물시간을 이용, 현장에 가서 매미가 유충에서 성충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배우는 것이다.지금까지 단편적으로 살펴본 미국의 과학교육, 그중에서도 생물교육은 실험·실습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그러나 확실히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 ...
식물도 식물이었지만 말매기 수백마리가 울어대는 매미들의 낙원이었읍니다. 3마리의 매미가 한데 붙어 있는가 하면 나무 한그루를 흔들었을 때 20여마리가 날라갈 정도였어요. 제주도가 말매기의 발생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읍니다.한라산지역에서는 제비왕나비 눈많은 그물나비도 보았고, ...
사람으로 치면 '리프 밴 윙클' (워싱턴 어빙의 스케치북에 나오는 인물·노인이 될 때까지 잠을 잤다)이라고할까. 미국의 '롱 아일런드'에서 '일이노이즈' 주에 걸 ... 갖춘다. 그러므로 요번에 찾아올 매미나이는 못되어도 4살 이상이다. 그래도 북미산 매미 보다는 고난기간이 짧다고 할까 ...
우리는 별로 한 것이 없고 파리류도 쉬파리 등 몇종류를 제외하곤 방치상태이며, 노린재 매미 진딧물은 많이 밝혀진 셈이지요. 요즘에도 미기록종이나 신종이 계속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곤충분류학은 한참 연구중인 단계로 보아야겠읍니다." -김박사께서 펴내신 곤충도감이 매우 ...
이 두 부류를 합치면 전세계에는 5만5천 종이나 있다. 또 여름에서 늦가을까지 매미와는 달리 날개끼리 또는 날개와 뒷다리를 마찰시켜 노래하는 귀뚜라미 방울벌레 여치 베짱이 등의 메뚜기류에 속하는 벌레는 전세계에는 2만5백종이나 알려졌고 우리나라에서는 1백20여종이 알려졌다. 벌류로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