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새벽에 동쪽으로 떠오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그래서 지금의 달력으로는 매년 6월 말인 이 시기를 1년의 첫 달로 정하고 농사를 지었지요. 이렇게 고대인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익숙한 별 무리에 이름을 붙이면서 별자리도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답니다. 가장 오래된 별자리 ...
성필용 선생님은 ‘수학은 아름답다’라는 말에 의아해하는 아이들에게, 그 말에 공감할 수 있도록 함께 생각하고 이야기하며 접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중학교 교사입 ... 면이 12개이니, 달력으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그러면 지금부터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에 도전해보자 ...
관람할 수 있는 전시와 체험부스 등 즐기는 방법도 가지각색. 행복한 축제를 완성하려면 달력을 가까이하세요. 아차하는 순간에 지나갈지 몰라요. [TIP] 어머, 여긴 꼭 가야 해! 매일 올 수 없다면 이 행사는 어떤가요? 수학동아가 추천하는 행사 2가지! [TIP] 수학 어벤져스를 놓치지 마라 ...
푸르른 5월입니다. 달력을 들여다보니 공휴일이 많습니다. 역시 가족의 달이네요. 그래서 이번 호에는 가족을 위해 늘 고생하시는 부모님께 정성 가득 담아 케이크를 만들어드리기로 했습니다. 부드럽고 촉촉 하면서도 외부의 힘을 버텨낼 수 있을 만큼 단단한 시폰 케이크와, 오븐에 구워도 ...
우주를 탐험할 수 있을 정도로 진화했어요. 우리가 역사책에서 보던 많은 일들이 우주 달력에서는 12월 31일 밤 11시 59분부터 약 1분 동안 일어난 일에 불과하답니다 ...
동안 만들었다고 한다. 이 시계만 있으면 현재 시각은 물론 전세계 24개 도시의 시각과 달력, 해 뜨는 시각, 해지는 시각, 낮과 밤의 길이, 현재 별자리, 달의 위상 변화 등을 한 번에 알 수 있다.피부로 보는 프로젝터 시계 평상시에는 팔찌처럼 차고 있다가 손목을 살짝 흔들면 현재 시각을 볼 수 ...
즉 그레고리력을 쓰면, 400년을 주기로 모든 요일과 날짜가 반복된다. 13일의 금요일은 달력의 주기에 따라 당연하게 등장한다. 그럼 ‘13일의 금요일’이 특별한 날처럼 보이는 것은 속설일 뿐일까? 적어도 수학적으로는 그레고리력에서 13일이 나오는 횟수가 요일별로 거의 비슷하다. 굳이 ...
비옥한 토지 덕분에 일찍이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
2016년 달력이 곳곳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은행과 우체국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손님에게 내년 달력을 나눠주고, 멋진 그림을 더한 새 달력이 판매대를 가득 메운 ... 2017년 1월 1일까지 전 세계에 HHPC를 보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 후손은 지금과 다른 달력을 쓰게 될지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