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필요한 이메일을 삭제하자는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수치에 관해서는 논란이 많다. 2022년 11월, 루치아노 로드리게스 비아나 캐나다 치쿠티미퀘백대 기초과학부 연구팀은 ‘기존 통념과 달리 이메일 삭제는 탄소중립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16/j ...
전 한 클라우드 회사가 개인이 저장한 사진들을 회사의 이벤트 홍보에 사용한 일이 있어 논란이 됐어요. 지난 12월, 네이버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자 통계를 정리해 서비스 이용자들이 가장 많은 사진을 찍은 장소 상위 10곳을 공개했거든요. 네이버는 사진을 열어본 것이 아니라 데이터에 담겨 ...
허수(Imaginary number, 상상의 수)라는 이름이 ‘없다’는 것을 연상시켜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키고 상당히 많은 비판이 있었어요.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1855)는 허수 대신 외수(Lateral number, 옆의 수)라는 이름을 붙이길 제안한 바 있습니다. 수학자로서 허수라는 이름을 어떻게 ...
제 이름은 챗GPT, OpenAI의 언어 모델입니다. 저는 정보, 언어 번역, 글쓰기 등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저는 항상 배우며 지식을 업데이트합니다. 저는 기계이며 개인적인 감정이나 생각은 없습니다. 저의 목표는 당신을 돕는 것입니다. 연중무휴로 이용 가능합니다.미국의 인공지능 연구소 OpenAI가 2 ...
모습을 강조한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갈릴레이가 정말로 실험을 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심각하게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프랑스의 과학사학자 알렉상드르 쿠아레였다. 쿠아레가 의심한 것은 갈릴레이의 경사면 실험이었다. 이 실험은 긴 경사면에서 공을 굴려 공의 속도 변화를 분석하는 ...
하다가 감염, 마비, 발작, 심하면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동물학대 논란이 일었어요. 이뿐만 아니라 생각만으로 기기를 조종할 수 있다보니 범죄에 악용되었을 때 범인을 찾기 힘들거나 범죄의 책임을 따지기 힘들 수도 있어요. 기계가 해킹당하면 기계에 연결된 인간의 정신까지 ...
11월 11일 보도 이 와중에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인 의 기사가 논란이 되며, 토론에 불을 지폈다. 는 11일 ‘장 교수가 란다우-지겔 영점 문제를 풀었다’는 식의 온라인 기사를 냈는데, 장 교수가 완전히 푼 건 아니라 오해의 소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
때문이죠(한때 유전자 조작으로 ‘맞춤형 아기’를 탄생시키는 일이 가능할지 모른다는 논란이 있었는데, 분명한 건 현재 과학자들은 인간을 만들 필요나 의지가 전혀 없습니다). 이런 수많은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수십 년간 실제 생체가 아닌 실험대 위에서 인위적으로 행해지는 ...
주립 박람회가 매년 주최하는 미술 대회에서 인공지능(AI)이 우승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어요. 대회에서 1등을 수상한 작품 은 참가자인 제이슨 엘런이 ‘미드저니’라는 AI 프로그램을 이용해 제작한 거였죠. 미드저니는 설명문을 입력하면 몇 초 만에 그림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