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우리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수상자들의 연구업적을 잘 살펴 다음을 기약하자. 올해의 노벨의학·생리학상은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 생화학과의 에드윈 크랩스(Edwin Krebs) 교수와 에드몬드 피셔(Edmond Fischer)교수에게 돌아갔다. 이 두 생화학자는 33년 전인 1959년에 에피 ...
지난 7월 우리나라는 수학 화학 물리 정보 등 4개의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대표단을 파견, 각각 18위 20위 12위 4위를 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중 국내에서는 처음 출전했던 화학 정보올림피아드의 이모저모를 여기에 참가했던 교수와 학생들로부터 들어본다.7월 11일 토요일 비가 오락가락하는 흐린 날 ...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산소동위원소 측정방법은 잘 알다시피 미국 시카고대학의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유레이(Urey)박사가 최초로 시도한 과거진단방법이다. 산소의 동위원소인 ${}^{16}O$과 ${}^{18}$O의 비(比)를 측정, 바다의 고수온(古水溫)을 알아내는 것이다.바닷물 속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CO}_{2}$ ...
가장 본질적이며 필수불가결한 요소였음을 강조하고 싶다.'서명사의 한 사람이며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파리대학의 장 마리 렝교수는 르 피가로지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과학자들이 '돈키호테처럼 풍차에 대항해서 싸우는 용기를 보여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그는 서방산업국가 생태학자들의 ...
그 이상의 탄소를 반응시킬 경우, 벤젠을 능가하는 무한한 화합물을 유도해낼 수 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UCLA의 도널드 크램박사는 "풀러렌으로 부터 전혀 새로운 화학이 탄생할 것이다"라고 예언하고 있다.${C}_{60}$은 그 구조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화학자들이 다루던 것과는 전혀 다르다. 60개의 ...
발달하였다. 고분자(커다란 분자사슬)의 존재는 독일의 헤르만 스타우딩거(1881~1965, 1955년 노벨화학상 수상)의 실험적 노력에 힘입어 1930년대에 들어와서 인정받게 되었으나, 인류에 의한 천연 고분자의 이용은 수천년의 역사를 갖는다.끈적거리는 성질을 없애려고남아메리카와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
최근에는 이웃 일본도 자기네의 과학기술력을 과시하기 위해 막대한 상금을 내건 세계규모의 과학상들을 제정했다.해마다 10월에 발표되는 노벨상은 1901년이래 90년의 연륜을 쌓아 오는 동안 세계최고의 수상제도라는 자리를 굳혀 놓았다.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의 유언에 따라 물리학 화학 의학 및 ...
입체적인 구조연구에 중점을 둬 온 단백질연구는 그 1차목표가 달성되자 이제는 유전자재조합기술과 결합해…어떤 기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려면 그 구조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것이 순서다. 마찬가지로 단백질의 생물학적 기능을 분자 메커니즘 수준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단백질 자체 ...
단백질구조해명을 통해 암유전자를 정복하려는 김성호박사(버클리대)와 유행성출혈열의 전모를 밝힌 이호왕교수(고대)가 현재로서는 노벨상에 가장 가까이 가 있다.과학자에게 최고의 영예가 되는 노벨상에 우리 과학자들은 얼마나 접근해 있을까.2년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면서 '세계4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