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성토양인 두루봉일대가 아닌 먼 곳으로부터 운반해 온 것으로 추측된다. 6만년전 네안데르탈인들은 자기자식의 무덤에 애도하는 뜻으로 꽃을 갖다 놓았는데, 두루봉의 구석기인들도 꽃을 통해 미적 감각을 표현했는지는 추측만 할수 있을 뿐이다. 단지 보다 확실한 사실은 당시 구석기인들이 ...
시작했다는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이빨 화석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후기 네안데르탈인의 이빨은 약 2천년동안에 1%씩 작아졌으며 그후에는 작아지는 속도가 빨라져 약 1천년에 1%씩 작아지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또 현대인의 이빨은 10만년전 마지막 빙하기 시대에 살던 사람들의 이빨에 ...
현대인들이 네안데르탈인을 소멸시키는 데에 왜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네안데르탈인들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강했을까? 그들은 훨씬 잘 싸웠을까?과학자들은 지금 이 문제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이, 정말로 맘만 먹으면 스스로를 5만5천초 이내에 파멸시킬 수도 ...
, '호모에렉투스'(80~20만년전) 등의 옛 인류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완전나체로 살았고, '네안데르탈인'(11만~3만5천년전)부터는 나뭇잎으로 앞을 가리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는 '인체'에 관한 지식을 알려주는 인체해부도, 태아의 발육과정, 인간의 생식기, 5관감각조직 등이 그림이나 모형으로 ...
생물학자들은 첫번째 견해로서, '이브'의 후손들만이 무언가의 이유로 차차 멸종해간 네안데르탈인이나 다른 고생인류의 후손들을 제치고 살아남았다고 보고 있다. 여러 고생인류의 후손이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고 보는 견해는 오늘날 유럽인이 네안데르탈인, 중국인은 북경인, 그리고 ...
후두가 높아 젖을 먹으면서 호흡이 가능하다.)손의 형태가 우리와 큰 차이없는 네안데르탈인이 만든 석기는 대단치는 않지만 제작공정이 몇 단계로나뉘어 있어 원리적으로 빼어나다. 약점은 끝 마무리가 시원치 않다는 점. 어떤 학자는 그 원인이 언어가 발달하지 않아 적절한 조언과 비평이 없었기 ...
진달래는 아닐 것이다. 인간이 꽃을 자신의 목적에 따라 쓴 최초의 예는 6만년전경 네안데르탈인을 묻은 '샤니다르'동굴(이라크)이었다. 역시 꽃가루 분석으로 밝혀진 이 샤니다르동굴의 꽃은 죽음에 대한 경외의 표시로 쓰인 것으로 분석돼 이 굴에 살던 사람들을 '꽃의 첫사람들'(the first flower people ...
선사연구실에 보관돼있다. 우리가 현재가지 과학교재로 사용했던 것은 금발의 네안데르탈인이나 크로마뇽인들의 생활모습.이번 복원된 금굴은 우리와 가까운 선인들의 생활상을 복원해냈다는데에 큰 의의를 갖는다. 동굴 복원작업에 같이 참여했던 국립과학관의 이승모 실장은 "현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