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토마토 박사입니다. 뱀과 곰에 이어 이번엔 원시인을 인터뷰하라고 하네요. 바로 네안데르탈인 이랍 ... 남편의 가족과 함께 살았다는 사실도 알아 냈지요. 앞으로 계속된 연구로 조금씩 더 밝혀질 우리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비밀, 기대해 주세요~ ...
대부분이 암흑물질(22.7%)과 암흑에너지(72.8%)로 돼 있다’는 사실을, 고고학에선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와는 다른 종이라는 사실’을 꼽았다. 세포학 분야에서 ‘일반 세포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어 원하는 세포를 생산’할 수 있게 된 점을, 의학분야에선 ‘몸속 유익한 세균과 장기의 공생 ...
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1월 15일자에 실렸다. ❶ 마이크로 X선 장비로 촬영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파란색은 큰 앞니(중절치), 노란색은 옆 앞니(측절치), 분홍색은 송곳니, 초록색은 앞어금니다.❷ 치아의 석회화가 진전된 상태. 가로로 넓게 그려져 ...
사람이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단서가 담긴 금맥”이라며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손가락뼈를 이용해 추가로 유전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높은 10종을 골라 발표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2만 5000년 전 지구상에서 모습을 감춘 네안데르탈인이 1위로 뽑힌 것. 1만 년 전 멸종된 세이버투스와, 1만 1000년 전 멸종된 쇼트페이스 불곰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공룡은 유전 정보가 충분히 남아 있지 않아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
검은색 안료가 남아 있어 안료 단지로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연구자들은 “지금까지 네안데르탈인의 유적에서 이런 상징적인 유물들이 거의 나오지 않은 건 그들이 상징 능력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인구밀도가 낮아 상징적 의사교환의 필요성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그리 다양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연구자들은 인류의 FOXP2 유전자 변이가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공통 조상이 살았던 30만~40만 년 전에 일어났다고 추정했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을 능숙히 조합해 수많은 소리를 내는 현생인류의 언어능력은 그 뒤 오랜 세월을 거쳐 수많은 유전자의 변화가 ...
지역에 등장한 지 2000~3000년 만인 2만여 년 전 이후로 이들의 화석은 나오지 않고 있다.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원인을 놓고 지금까지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낮은 지능이나 자연재해 같은 여러 가지 학설이 제기돼 왔다 ...
지능을 얘기할 수 없음을 보여줬습니다.” 배 교수는 현생인류와의 경쟁에서 밀려난 네안데르탈인은 뇌 용적이 평균 1500cc로 더 컸음에도 머리는 나빴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침팬지만 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뇌 용적을 두고 이들이 별개의 인류가 아닌 질병에 걸린 현생인류라는 주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