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보존 기간인 35일보다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미 1960년대에 탈글리세롤법(deglycerolization)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적혈구를 냉동하여 보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냉동적혈구(frozen red blood cell)는 희귀 혈액형을 가진 사람의 혈액이나 자가수혈용 혈액의 장기보존을 위해 선진국에서 이미 ...
쓰이는 글리세롤은 독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환자에게 주입하기 전에 잘 세척해 글리세롤을 제거해야만 한다. 실제로 적혈구의 냉동과 세척은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다. 그 점은 세정적혈구와 냉동적혈구가 널리 보급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백혈구는 한마디로 말해 감염에 대항하는 세포다. ...
이번 쇠기름파동으로 '유명해진' 산가측정법과 과산화물가 측정법이 있다.지방산+글리세롤로 이뤄진 기름이 산패돼 가수분해되면 지방산이 분리돼 나온다. 이 지방산의 산도를 측정한 것이 바로 산가. 따라서 산가는 지방산패의 지표가 될 수 있으나, '지방산의 발생=인체의 해(害)'라는 ...
사용, 0℃로 냉각시킨다. 이 상태에서 피를 뽑아내고 대신 인공 피와 항냉동제인 글리세롤을 주입한다. 그 뒤 열차단 슬리핑백에 냉동체를 싸서 냉동캡슐로 옮겨 최종 보관한다. 냉동캡슐 안에는 액체질소가 들어있어 -1백96℃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보관을 하는데 드는 돈은 약 1억원. 이중 3천 ...
유전자의 보관은 첫째 섭씨 영하 1백96도의 액체질소탱크속에 보관하는 동결보존법, 둘째 글리세롤 10%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 영하 80도의 상태로 보존하거나, 세째 적당한 배지에서 배양해 진공상태에서 동결건조시킨 후 유리관 안에 넣어 보존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1마리에 1~2만원씩 ...
polyalcohol) 등이다.이 가운데서도 냉동인간제조에는 폴리알콜 즉 글리세롤이 주로 쓰인다. 글리세롤은 생체적응성이 커서 세포보존에 널리 이용되는 물질이다. 하지만 독성학자들은 "글리세롤 등 항냉동제는 자체의 독성을 지니고 있어 세포 또는 인간에게 사용할 경우 위험성이 뒤따른다"고 ...
잴수있게 되어있다. '중성지방'도 흔히 측정되고 있다. 중성지방이란 지방산 3개와 1개의 글리세롤이 결합한 것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라고도 한다. 이 혈액속의 중성지방의 수치는 포도당과 마찬가지로 식사의 영향으로 현저하게 동요를 나타낸다. 따라서 엄밀하게 12시간 이상의 절식상태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