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든 용어가 공학 농학 의학분야에서 잘 반영이 되지 않고 있다. 플루오르 시트르산 글루탐산이 여전히 일본식 용어인 불소 구연산 글루타민산으로 쓰이고 있으니 개탄할 일이다.새로 제정된 과학용어는 교과서에 반영되므로 학생들에게는 신속히 보급된다. 그러나 각종 사전류와 많은 ...
Hb)을 조사해 보면 헤모글로빈의 두 사슬, a와 b중 b사슬의 여섯번째 아미노산이 정상의 글루탐산에서 발린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환자는 헤모글로빈 b사슬 유전자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헤모글로빈의 아미노산중 하나가 바뀌게 되고 결국 이 아미노산의 치환이 ...
당시에 25만마리의 양 돼지에서 얻어낸 TRH는 고작 1mg이었다. 이 극미량으로 그들은 TRH가 글루탐산 히스티딘 프롤린 등 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알아냈으나 정작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양은 남아 있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은 다시 인공적으로 합성하기로 마음 먹고 ...
일어나 생기는 것이다. 단지 한 염기가 변화됨으로써 글로빈 단백질의 '발린'(valine)이 글루탐산으로 바뀌게 된다. 한 개체의 베타-글로빈 유전자 모두(두가닥 모두)에 이같은 돌연변이가 생기게 되면, 합성된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되어 병의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우연히도 이 돌연변이는 ...
식초 성분인 아세트산, 쳥량음료 등 상쾌한 맛을 주는 시트르산, 조미료로 쓰이는 글루탐산, 영양강화제로 쓰이는 라이신 등이 있다.이들은 각각의 성분을 특히 많이 생성하거나 그렇게 유도된 균에게 탄소와 질소 물질을 적당한 조건과 함께 제공하여 발효를 시키고 원하는 물질 만을 ...
좋은 영양분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염가의 원료로부터 페니실린과 같은 귀중한 항생물질, 글루탐산과 같은 아미노산, 그리고 핵산물질·단백질과 같은 식량자원도 비교적 좁은 공간(탱크 속)에서 빨리 생산해 낼 수 있는 것이다.무한한 단백질원이제 미생물이 산업적으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