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소년의 이야기 ♥ 19세기 말 영국.한 11살 소년이 생각에 잠긴 채 창가에서 노을을 바라보고 있습니다.그날 소년은 형에게 ‘유클리드 기하학’을 배웠습니다. 소년의 형은 모든 기하학의 정리가 ‘공리’라고 불리는 5가지 전제로부터 나온다는 놀라운 사실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시범 ...
달의 남극이 우주 거점 기지가 될 수 있을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2년 8월 20일 달 남극에 착륙 후보지 13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2025년, 이 후보지들 중 선정된 지역에 여성우주인과 유색인종 우주인이 ‘아르테미스 3호’를 타고 달에 발을 내디딜 예정이다. NASA가 달 남극을 우주인 거점 기지 후 ...
2023년 새해에도 놓칠 수 없는 과학 영상 읽어줌! 나 마이보는 이번에 일상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코드와 QR 코드 속 과학부터, 탄산음료를 100만 번 흔들어보는 실험 영상까지 아주 알차게 준비했어. 반려견을 키우는 친구들이라면 알아두기 좋은 공원 산책 팁도 있으니 같이 확인해 보자고! ● ...
옛 천문학자들만 별 지도를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도 천문학자들은 여전히 별 지도를 만들고 있죠. 그렇다면 오늘날에는 어떻게, 어째서 별 지도를 만드는 걸까요? ➊ 가이아 위성은 별의 시차를 측정해 지구와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 사진은 눈에 잘 보일 수 있게 별의 시차 궤 ...
박테리오파지는 정말 희한하게 생겼어. 세균을 먹고 사는 이 녀석들이 어쩌면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지도 모른대! 어떻게 그런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된 걸까? 겉보기에 엉성하게 진화한 동물들에게 숨겨진 사연은 또 뭘까? 거기에 지구상 가장 위험한 장소 7곳까지? 재밌는 영상을 준비했으니 같이 한 ...
1m가 10분의 1씩 아홉 번 작아지면? 10억분의 1m를 1nm(나노미터)라고 합니다. 이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로 작은 세계죠. 이화여자대학교 연구협력관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으로 어과동 독자기자단이 다녀왔습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에서는 나노의 세계 ...
와, 지식의 숲은 나무들로 빽빽하네! 주렁주렁 달린 열매들을 자세히 봐. 사과 열매, 우주선 열매…, 게다가 강아지 열매도 있어! 어떻게 이 열매들이 한 나무에 달려있는 걸까? ‘아는 것이 힘!’ 백과사전의 탄생 백과사전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요.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 ...
트리옵스라는 생물을 들어본 적 있어? 마른 흙에 물을 넣었더니 이 생물이 탄생했다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봐야겠어. 또, 과학 영상 추천 알고리즘을 따라가다 보니 골판지로 뚝딱뚝딱 자판기를 만들어 컵라면을 끓여 먹은 영상도 발견했는데, 궁금하네! 그럼 이번 호 나 마이보가 추천하는 ...
‘성덕’이란 말을 아시나요? 성공한 덕후란 뜻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유명한 사람을 만났을 때를 이르는 말이에요. 지난 8월 초, 합정동의 한 카페에서 천선란 SF작가를 만난 기자는 잠시나마 성덕의 기분을 느꼈습니다. 평소 작가의 작품을 지인에게 선물하기도 하던 팬이었기 때문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