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주립대 다운스테이트 보건과학대학 새뮤얼 마르케스 교수팀은 4만 년 전쯤 멸종된 고인류 네안데르탈인도 중이염으로 괴로워했을 거라고 밝혔어요. 심지어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중이염에 쉽게 걸린 것이 멸종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마르케스 교수팀이 이런 연구를 ...
가기 위해서는 구하기 어려운 시료를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즉, 고인류 화석의 연대를 측정하고 싶다면 비슷한 형태의 화석을 많이 찾아야 한다는 얘깁니다.그런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1970년대 과학자들은 적은 시료로도 정확하게 연대를 ...
불러요. 또한, 20세기 후반에는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고인류 화석이 발견되었어요. 이 화석들은 인류의 조상이 실제로 오래전 지구에 살았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되었죠. 다윈을 비웃던 사람들이야말로 진화론을 전적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셈이에요 ...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6만 4000년 전의 동굴 벽화도 발견되었어요. 고인류는 과학자들의 생각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그림을 그려온 거예요 ...
단어인 ‘석기’는 ‘돌로 만든 도구’를 의미해요. 대개는 금속을 사용하기 전 고인류가 사용한 도구를 가리키는 뜻으로 쓰이죠. 구석기 시대에는 단단한 재료로 돌을 직접 때려서 석기를 만들었어요. 돌이 깨지며 생긴 날카로운 부분을 도구로 사용한 것이죠. 필요 없는 부분을 떼어내고 ...
Part 1. 기원 - 침팬지는 인류의 조상일까?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 ...
도구를 만드는 능력이 인간의 특징이라고 생각하고, 석기를 처음으로 만든 200만 년 전의 고인류에게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의 이름이죠. 그런데 지난 2015년, 호모 하빌리스가 만든 석기보다 더 오래된 석기가 발견되었어요. 미국 ...
아쉽게도, 한반도에서는 고인류의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요. 토양이 산성이라 고인류의 뼈가 쉽게 부식되어 버리기 때문이죠. 한반도의 가장 오래된 선사시대 유적은 북한 평양 근교에 있는 ‘상원 검은모루’ 유적이에요. 약 60~65만 년 전의 주먹도끼가 발견되었는데, 호모 에렉투스가 만든 ...
이제 우리 네안데르탈인이 그렇게 아둔한 원시인이 아니었다는 걸 알겠지? 그런데 그렇게 똑똑했으면 왜 다 사라졌냐고? 어허, 이것 참. 누가 다 ...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사이에서 태어난 소녀의 화석도 발견되었어요. 서로 다른 고인류가 자손을 만드는 일이 생각보다 흔했던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