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고 부를 수 있겠는데, 이들은 현재 절멸했고 반면에 루시로 대표되는 작은 모습의 고인류가 호모로 진화하게 돼 현생인류로 연결됐을 것이라는 주장이다.이 견해는 또 두 가지 다른 진화과정-즉 하나는 현생인류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로 진화해 약 1백만년 전에 절멸하게 ...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유물이 포함된 퇴적층의 연대측정 결과는 고인류가 임진강 유역에 등장한 시기가 대략 4만~5만년 전일 것임을 가리켜 주었다.이러한 분석결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다. 왜냐하면 이 시기가 되면 일반적으로 주먹도끼나 가로날도끼 등과 같은 고졸한 형식의 ...
라고 설파했다.모습 드러내는 빙산사실 인류의 진화를 논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고인류학(古人類學)이나 인류고생물학(人類古生物學)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빙산의 끝만큼이나마 밝혀졌다고 볼 수 있다. 전체적인 발전이 있기는 했으나 아직도 너무 많은 미해결의 문제가 남아있다. ...
참가한 배문중(裵文重, 1904~1983)과 가란파(賈蘭坡)박사등은 중국 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 연구소 리더로서 이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1929년에 처음으로 북경원인의 두개골을 발견한 학자도 배문중박사였다.자취를 감춘 두개골인류 최초의 화석인골은 중국 이외의 다른 곳에서도 ...
「아담」을 찾아서 아뭏든 분자생물학자들의 새로운 이론에 대해 의심스러워하는 고고인류학자들은 꽤 많은 편이다. 이들의 화석에 대한 애착은 뿌리가 깊어보인다. 실상 몇가지 가설만 바꾸면 DNA시계에서 '이브'의 탄생을 수십만년 뒤로 돌려놓을 수 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
빙하기(1백50만~50만년)에 이곳에 살았던 인류는 피테칸트로푸스(호모 에렉투스)였다고 고인류학자들은 풀이하고있다. 그뒤 대륙과 분리되고 나서는 인도네시아와 인도차이나, 말레이에서 14세기경 까지 계속 이주해왔다. 이렇게 필리핀은 오랜동안에 걸친 여러차례의 이주로 이루어진 종족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