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있는 것은 작게, 가까이 있는 것은 크게 그리는 방법이에요. 이탈리아 철학자이자 건축가인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자신의 책 에서 선형 원근법을 설명하며 이를 자동으로 표현하는 기계 장치를 언급했지요.그뒤로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그림을 그릴 때 ...
극복할 방법으로 ‘텐세그리티 구조’를 연구하고 있어요. 텐세그리티 구조는 미국의 건축가 리처드 버크민스터 풀러가 1960년대에 만들었어요. 단단한 재질의 막대와 이를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케이블이 지요. 뼈와 근육으로 이뤄진 인체도 일종의 텐세그리티 구조랍니다. 견고할 뿐만 아니라 적은 ...
듯 무너지지 않는 매력 때문에 많은 예술가가 텐세그리티를 활용했습니다. 미국의 건축가이자 수학자인 리처드 버크민스터 풀러가 처음 텐세그리티라는 이름의 작품을 선보였고, 현대 조각가이자 사진작가인 케네스 스넬슨이 네덜란드의 크뢸러 뮐러 미술관에 설치한 작품과 호주 브리즈번의 ...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떠올리는 건 같지만, 작품에 필요한 설치물을 만들 때는 건축가처럼 설계도를 그려야 하고, 이후에는 프로그래머처럼 알고리듬을 만들어야 하죠.2014년 올해의 예술가상을 받은 국내 뉴미디어아트 예술가인 양민하 작가는 설치물 제작부터 전기회로 설계, 알고리듬 코딩까지 ...
미술가와 건축가들은 여전히 황금비를 사랑한다. 현대 건축에 큰 공헌을 한 프랑스의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는 ‘라 투레트 수도원’을 설계할 때 건물은 물론 창문의 비율까지 황금비로 정했다. 이번 수학체험실에서는 에우클레이데스가 제시한 정의에 따라 황금비를 직접 구해보고 이를 이용한 ...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토론을 자주 했습니다. 수학자, 물리학자는 물론 시인, 철학자, 건축가, 심지어 한의사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무한은 무엇인가’와 같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죠. 하나의 주제를 놓고 수학자의 관점과 철학자의 관점을 동시에 들었던 시간은 저에게 매우 ...
태양열 발전이 가능한 온실로 지붕을 대체하자는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고, 슬로바키아 건축가 미칼 코박은 레이저 첨탑을 짓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답니다. 드론부터 3D 스캐닝까지. 그 동안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켜온 우리 가고일들이 봐도 정말 든든한걸? 처음 이곳에 살게된 때보다 훨씬 ...
곳에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한 줌의 빛도 들어오지 않아 어둡고 답답하겠죠? 헝가리 건축가 아론 로손치는 이러한 편견을 깨고 사방을 콘크리트가 둘러싸고 있어도 답답하지 않은 건물을 만들고 싶었어요. 연구 끝에 빛을 투과하는 ‘리트라콘(Litracon)’을 개발했지요. 리트라콘은 기존의 ...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이 중 필자와 같은 반도체 회로 설계자가 하는 일은 건축가와 비슷하다. 건물을 지으려면 설계도가 필요하듯, 반도체 연구도 설계도를 만드는 분야가 따로 있다. 반도체 회로 설계자는 손톱보다 작은 면적에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며 전자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