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기 대원들의 첫 공식 활동, 개나리데이 미션이 3월 19일부터 29일까지 이루어졌어요. 대원들은 개나리의 개화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해 총 708건의 기록을 남겨주었지요. 이를 통해 지역마다 꽃이 핀 시기가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답니다. 전국 방방곡곡 핀 개나리 지도 함께 ...
생강나무 등 우리나라의 낙엽활엽수●들의 개화가 평균 약 9.4일 빨라졌다고 밝혔어요. 개화나 단풍처럼 매년 계절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식물들의 변화를 ‘식물계절’이라고 합니다. 기후변화와 관련이 크다고 밝혀져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지요.연구를 이끈 국립수목원 ...
우리가 한 해 동안 달력을 보고 생활하듯이, 식물도 각 계절에 맞게 변화합니다. 봄에는 잎과 꽃이 피어나고,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며 잎이 떨어져요. 식물의 변화에 따라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생활하는 모습도 달라지죠.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에 따른 식물들의 변화 주기인 ‘ ...
식물자원연구과 연구원들이 광릉숲 내 소리봉(해발 537m)에 있는 식물 27종의 개엽, 개화 상태 등을 기록하는 날이거든요.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계절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매주 같은 장소에서 데이터를 모으는 거죠.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관찰하는 방법도 달라요. 개복수초처럼 땅에서 나는 초본 ...
꽃봉오리가 나왔군요! 예진 대원 덕분에 봄이 다가온 게 확 느껴져요! 식물 개화추안지 대원 | 행복한지구 팀탐사 생물 백서향발견 위치 - 하정주 매니저더 좋은 자료가 되기 위해 GPS 위치 정보를 함께 기록해주세요. 조류박태경 대원 | 위키 팀탐사 생물 박새발견 위치 경기 ...
길쭉한 알집 속에 알이 들어 있어요. Q이것은 무슨 꽃인가요? 소지현 식물개화 연구원 이 식물은 ‘애기똥풀’입니다. 식물의 줄기나 잎을 꺾으면 노란색 유액이 나오는데, 이게 마치 아기의 똥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
환경”이라며, “도시엔 조경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꽃이 자라는데, 꽃들이 각자의 개화 시기에 맞춰서 차례로 피기 때문에 꿀벌이 오랫동안 다양한 꽃꿀을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 밖에도 식생, 건물 수 등 도시의 주변 환경 요소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특정 도시가 꿀벌 ...
마치 포도송이처럼 아래쪽으로 주렁주렁 매달려 피어나며 초여름까지 약 1달 반 동안 개화한다. 식물에 따라 꽃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라는데, 꽃이 꽃대에 붙는 배열 방식을 꽃차례(화서)라고 부른다. 냉이 꽃처럼 길게 자란 꽃대 양옆으로 작은 꽃자루가 계속 달리는 것을 총상 꽃차례라고 한다. ...
그 안에 새나 벌, 나비가 좋아하는 꿀과 꽃가루가 그득하다. 이때 꽃은 각각 하루 동안만 개화한다. 그러나 순차적으로 꾸준히 피어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새를 유혹한다. 비단 새들만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횃불생강이 자라는 지역의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이 꽃을 매우 사랑해왔다. 관상용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