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윤 박사팀은 지난 1월 나비의 구조색 원리를 이용해 무지개 색의 소프트 로봇을 개발했어요. 소프트 로봇은 깨끗한 물에서는 가만히 있다가, 메탄올이 섞인 물에서는 돌돌 말리면서 색깔이 변한답니다. 김대윤 박사팀은 “메탄올뿐 아니라 다른 유해 물질도 검출할 수 있다”며 “자연의 ...
불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학 박사. 정신과 환자를 재활하는 ‘사람돌봄이론’ 개발 등 사람을 돌보고 살리는 일에 힘썼다. ● 과학기술유공자가 만화로! 우리나라가 과학기술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한 과학기술자들의 이야기를 의 조재호, 은하수 작가님의 만화로 소개합니다. ...
점차 비싸졌어요. 그러자 미국의 화학회사인 듀폰사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합성 섬유를 개발하기 원했어요. 이에 듀폰사의 월리스 흄 캐러더스 연구팀은 높은 온도에도 잘 녹지 않고 탄력을 갖춘 섬유를 생산하기 위해 연구에 돌입했습니다. 그리고 1935년 2월 마침내 나일론을 만드는 데 성공했죠. ...
연구팀은 글루코만난으로 모은 물을 셀룰로스가 방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젤 필름은 집에서도 간단하게 만들 수 있어요. 재료를 섞어 틀에 흘려 넣은 뒤 건조시키기만 하면 되거든요. 게다가 젤 필름의 재료인 글루코만난과 셀룰로스 모두 주변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연구팀이 전기 자극으로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전자 반창고를 개발했어요. 전자 반창고는 작은 꽃 모양의 전극과 이를 둘러싼 고리 모양의 전극으로 만들어졌어요. 꽃 모양의 전극은 상처가 난 곳에, 고리 모양의 전극은 상처가 나지 않은 건강한 피부에 붙여요. 그리고 ...
삼각김밥을 팔기 시작했고, 이후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맛의 삼각김밥이 개발됐답니다. 삼각김밥은 왜 하필 '삼각형'일까 편의점 삼각김밥은 왜 동글동글 원도 아니고, 네모난 사각형도 아닌 삼각형일까요? 삼각김밥이 삼각형 모양인 이유를 슈퍼M이 알려줄게요. 하나, 다른 음식도 같이 ...
씨앗 스스로 땅속을 파고들어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습니다. 바로,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국화쥐손이지요. 2월 15일,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연구팀은 국화쥐손이 씨앗 구조를 모방해 씨앗 운반 로봇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국화쥐손이의 씨앗은 한쪽 끝에 꼬리가 달린 채 ...
시도를 하면서 대답을 최적화하는 프롬프트를 알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어요.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수많은 AI 알고리즘을 잘 알아야 해요. 그래야 남들보다 좋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지요. "3D 작업물은 메타버스 속 어디에나 필요해 가상공간 디자이너는 가치 있는 직업이 될 ...
되고 싶어요? 기쁨 세상을 바꿀 만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요. ‘우리가 이거 개발했어!’라고 하면 모두가 다 아는 정도의 영향력이 있으면 좋겠어요. 성준 석사 지도 교수님이 ‘현장에 도움되는 연구를 하라’고 항상 말씀하셨는데요.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싶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