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암 정복 단서 제공하는 후성학 등장

염기서열이 똑같더라도 유전자 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 해 최근 등장한 학문이 후성학 이다.염기서열이 똑같더라도 유전자 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 해 최근 등장한 학문이 후성학 이다.

유전정보가 염기서열에 담겨있다는 고정관념이 바뀌고 있다. 유전자가 발현되는데는 염기서열과 함께 메틸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DNA에서 메틸화 현상을 밝혀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새로운 학문 후성학을 만나보자.포스트게놈시대를 맞이해 게놈프로젝트의 연구결과를 의학이나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일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계속)

글 : 김용성 생명공학연구원 yongsung@kribb.re.kr

과학동아 2002년 1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2년 1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