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봄 우리의 잠을 설치게 했던 핼리혜성의 긴 꼬리도 플라즈마 상태이다
제4의 물질상태 플라즈마. 2만℃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성질을 이용해 물리학과 재료공학의 발달 뿐 아니라 핵융합 발전이 가능해지고 있다.인류의 고민거리인 에너지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길은 없을까. 이 숙제를 풀 한가지 방법을 미래의 에너지원이라는 핵융합이 있다. 그런데 핵융합을 이야기 할 때 반드시 나오는 말이 플라즈마(Plasma)이다. 플라즈마란 무엇일까....(계속)
글 : 장충석 한국과학기술대학교 플라즈마 물리학
과학동아 1987년 01호
과학동아 1987년 0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