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ㆍ 구글 딥마인드는 IMO 폐막 3일 뒤에 수학 특화된 AI 모델 알파프루프를 출시하며 올해 IMO 문제 6개 중 4개를 풀어 은메달 정도의 실력을 갖췄다고 발표했다.
ㆍ 한편 필즈상 수상자 테렌스 타오는 IMO에서 AI의 잠재력과 한계를 지적하며 수학 연구에 AI를 활용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ㆍ AI가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2024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IMO 문제 푸는 AI 공모전 수상자 5팀이 발표됐다. 수학계 최고의 영예인 필즈상 수상자는 수학에서의 AI 역할에 대해 강의했다. 오픈 AI 등 전 세계 AI 기업은 올해 IMO 문제가 공개되자마자 AI 모델의 수학 실력을 공개했다.
엄격한 추론과 논리가 필요한 수학은 AI 분야에서 그동안 도전적인 과제였지만 AI가 인간의 수학 능력을 뛰어넘는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AI, 다수결 이용해 수학대회 우승
ㆍ IMO 금메달 따는 AI 공모 위한 대회 열려 ∑ : 알고리즘을 거래하는 영국 기업 ‘XTX 마켓’이 상금 1000만 달러(약 130억 원)를 걸고, IMO에서 금메달을 딸 수 있는 AI를 공모하기 위한 대회를 올해 처음 열었다. AI로 IMO 문제를 푸는 ‘AI-MO’의 사전 행사로, 일명 발전상 대회로 불린다.
ㆍ IMO에서 수상팀 발표👄 : 발전상 대회에서는 실제 IMO에서 출제되는 문제보다 약간 쉬운 수준의 문제 50개가 출제된다. 참가팀들이 개발한 AI 모델은 50문제를 풀고 한 문제를 풀었을 때마다 1점을 받는다.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모델을 개발한 참가팀이 우승한다. 29점을 얻은 누미나(Numina) 팀이 1위로 우승했고 2~4위 팀은 20~22점을 얻었다. 7월 영국 바스에서 열린 IMO에서 수상팀이 발표됐다.
ㆍ 다수결로 정답 찾는 무매스✋ : 누미나 팀이 개발한 AI 모델 ‘무매스(MuMath)’는 자연어로 문제와 문제 풀이 학습이 가능하며, 문제를 풀 때 다수결을 이용한다. 한 문제에 대해 여러 갈래의 풀이와 답을 생성하고 이중 가장 많이 나온 답을 정답으로 제출한다. 무매스는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인 MATH와 GSM8K에서 각각 0.524, 0.838를 기록했다.
👀 필즈상 수상자, AI기업 모두 수학 AI 연구
ㆍ 필즈상 수상자 수학을 위한 AI 연구 👨 : 2006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 UCLA 교수는 IMO에서 ‘과학과 수학에서의 AI 잠재력’에 대해 강연을 펼쳤다. 그는 수학자가 어떻게 AI 도구를 이용해 새로운 추측을 제시하고 증명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타오 교수는 이번 강연에서 “AI는 신뢰할 수 없거나, 현실에 근거하지 않거나,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한 답을 내는 약점을 갖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AI를 과학과 수학 연구에 이용해야 하며 어떻게 사용할지 공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ㆍ 딥마인드 AI IMO 은메달 점수 기록 💻: 구글 딥마인드는 IMO 폐막 3일 뒤인 7월 25일 수학 추론에 특화된 AI 모델 알파프루프(AlphaProof)를 출시하며 올해 IMO 문제 6개 중 4개를 풀었다고 설명했다. 은메달을 기록할 정도의 점수였다.
ㆍ 올해 IMO 대회장에서도 AI 강조 : 3년 연속 한국 대표로 IMO에 출전한 진영범 서울과고 3학년 학생은 “이렇게까지 대회 곳곳에서 AI가 강조된 것은 처음이었다”면서 “AI가 IMO에서 주로 사용하는 풀이를 잘 조합하면 충분히 완결된 풀이를 만들 수 있겠지만, 시행착오를 거쳐 창의적으로 규칙을 찾아야 하는 조합 분야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엔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IMO 이사인 송용진 인하대 수학과 교수는 “IMO 문제는 객관적인 수치인 ‘점수’로 실력을 평가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AI의 능력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평가하기 좋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면서 “AI 기업이 전 세계 IMO 출신 연구원들에게 AI 모델이 푼 IMO 풀이의 채점을 맡기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 탐구 활동
AI 기술이 수학 교육과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필즈상 수상자와 IMO 출신 연구자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AI가 수학 학습 및 연구 도구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탐구
2. 수학 대회에서의 AI 모델 성능 비교 탐구
2024년 IMO 공모전에서 사용된 AI 모델들의 접근 방법과 점수 차이를 분석해 어떤 요소가 AI 성능에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
관련교과
ㆍ 2022 개정 : 공통수학1, 공통수학2, 데이터과학, 인공지능 수학
관련계열 및 학과
ㆍ 공학 계열 : 컴퓨터과학과/소프트웨어공학과
ㆍ 교육 계열 : 수학교육과, 교육공학과
ㆍ 인문 계열 : 철학과/윤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