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성이 탄탄해야 설득력이 생긴다



과학 기사를 쓰기 위해서는 무엇을 소재로 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가장 먼저 하게 됩니다. 소재가 정해지면 어떤 내용을 쓸 지 주제를 정하고 주제를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와 사실, 즉 팩트(Fact)를 수집합니다. 팩트를 수집하는 과정을 흔히 취재라고 하지요. 모든 과정이 매끄럽게 연결될 때 비로소 좋은 기사가 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준비를 잘해도 기사의 구성이 어설프다면 관심을 끌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과학 기사는 다소 어려운 과학 이론과 법칙을 설명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재미있는 구성에 대한 고민도 많이 해야 합니다.

4월호에도 독자 여러분들이 직접 보내준 기사 중 2개의 기사를 지면에 소개합니다. 두 기사 모두 생활 속 흥미로운 소재를 과학 기사로 작성했습니다.

Do!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수습 기자 여러분들이 작성한 기사가 홈페이지에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상반기 안에 정식 기자 선정 기준을 공개하고 정식 기자를 선정하겠습니다. 교내 과학동아 동아리 차원의 취재 지원도 적극 신청해 보세요. 소중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 기사 전문은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2년 4월 과학동아 정보

  • 편집부 기자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