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18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서울 마포구의 오봉환 씨(51)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이번 공모전에는 일반부 84점, 청소년부 40점으로 총 124점이 출품돼 열띤 경쟁을 벌였다.
오 씨는 마포구 아파트 옥상에서 지난해 5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찍은 1만 3000장의 달 사진을 모자이크로 합성해 대형 작품 ‘달 6월령 모자이크’를 출품했다. 이 작품은 현재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는 세계 최대의 달 모자이크보다 1.6배나 더 큰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해상도 72 dpi 를 기준으로 대상작의 높이는 2.5m, 폭은 6.9m에 이른다.
심사위원장인 김천휘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지난해보다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됐다”며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나 산맥 등 여러 지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라고 밝혔다.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1
* dpi :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 영상 1인치당 들어가는 도트(점)의 개수.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pp0fyMWHrrjldl3UPn6i_830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TDqC0nCIQK74wLnUWxMZ_351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JxaY3HRDDZGCQ0wbbAl2_084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77WrIrpk5SJ7KrHlj0mB_569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gFjg7Gf4ll6t0b7qyoaU_830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i8cRdMrlI7rEXHXK5Xqy_496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vEsuEY1kCQXASF5IP98e_024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TpaeFw9gtGYbJQkYAK2r_691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YIUd51jtFRc1vU0QiuZp_504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VDtMXGCyCgHJ7kSKlkbp_07520100426.jpg)
오 씨는 마포구 아파트 옥상에서 지난해 5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찍은 1만 3000장의 달 사진을 모자이크로 합성해 대형 작품 ‘달 6월령 모자이크’를 출품했다. 이 작품은 현재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는 세계 최대의 달 모자이크보다 1.6배나 더 큰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해상도 72 dpi 를 기준으로 대상작의 높이는 2.5m, 폭은 6.9m에 이른다.
심사위원장인 김천휘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지난해보다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됐다”며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나 산맥 등 여러 지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라고 밝혔다.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1
* dpi :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 영상 1인치당 들어가는 도트(점)의 개수.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pp0fyMWHrrjldl3UPn6i_830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TDqC0nCIQK74wLnUWxMZ_351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JxaY3HRDDZGCQ0wbbAl2_084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77WrIrpk5SJ7KrHlj0mB_569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gFjg7Gf4ll6t0b7qyoaU_830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i8cRdMrlI7rEXHXK5Xqy_496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vEsuEY1kCQXASF5IP98e_024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TpaeFw9gtGYbJQkYAK2r_691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YIUd51jtFRc1vU0QiuZp_5042010042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3/VDtMXGCyCgHJ7kSKlkbp_0752010042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