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력과 더불어 우리 생활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는 음력. 음력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1895년(고종 32년)관보에는 다음과 같은 조칙(詔勅)이 실렸다.
官報 號外
詔勅
三統의 互用하미 時를 因하야 宜를 制하미니 正朔을 改하야 太陰暦을 用하대 開國五百四年 十一月十七日로써 五百五年一月ᅳ日을 삼으라
開國五百四年九月九日
內閣總理大臣 金弘集
(各部大臣 省略)
쉽게 말해서 세상이 바뀌었으니 개국504년 음력 11월 17일을 다음해인 505년 양력 1월 1일로 하고 이후부터는 양력을 사용하라는 것이다. 이로써 삼국시대 이후 중국의 영향으로 이어져 온 음력은 자동 폐지되고 태양력(그레고리력)이 시행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국가에서 음력을 폐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음력은 일제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국민 생활에 이용되고 있으며, 천문대에서 매년 발간되는 역서에도 음력이 실려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국가에서 폐지한 음력과 정식으로 채택한 태양력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비록 폐지된 역이지만 현실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음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설명해 보고자 한다.
29일과 30일은 어떻게 결정되나
음력의 평균 한 달은 29.53일이다. 따라서 한달이 29일인 경우와 30일인 경우 두가지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잘 모른다. 어떤 사람은 29일과 30일이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만약 달력을 관심있게 본 사람이 있다면 주로 겨울에는 음력 한 달이 30일인 경우가 많고 여름에는 28일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을 것이다. 그것이 규칙적이지는 못하다는 것도 알았을 것이다.
그러면 음력 한달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고 달은 지구 주위를 돈다. (그림 1)은 이 과정을 간단히 그린 것이다. 그림에서 A B C D와 같이 태양과 달과 지구가 나란하게 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을 합삭(合朔)이라 부르며, 합삭이 있는 날을 음력으로 그 달의 첫날로 두게 된다. 예를 들면 양력으로 올해 2월 21일 22시 5분에 합삭이 있었다면 양력 2월 21일은 음력으로는 2월 1일이 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올해 달력을 보자. (그림 2) 2월21일 아래에는 작은 글씨로 2.1이 적혀 있는데 음력으로 2월 1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2월 다음에 합삭은 정확히 3월 23일 16시 14분에 있다. 그래서 3월 23일은 음력으로 3월 1일이 된다. 그리고 하루 전 3월 22일은 2월 21일부터 30일째가 되어 음력 2월 30일이 되고 93년 2월은 한달이 30일인 것이다. 이제 6월과 7월의 달력을 보자. 6월 20일이 음력으로 5월 1일로 적혀 있다. 즉 6월1일에 합삭이 있었다. 정확히 6월 20일 10시 52분이 합삭시각이다. 또 7월19일이 음력으로 6월1일로 되어 있으므로 이날에 합삭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확히 7월 19일 20시 24분이다.
여기서 독자들은 의문이 하나 생길 것이다. 즉 양력 6월 20일이 음력 6월 1일이 되어야 할 것인데, 왜 5월 1일인가 하는 것이다. 물론 그 사이에 윤달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음력에서 윤달은 어떻게 두는가.
여기에 대해서는 윤달과 절기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음력 한달에 대해 좀 더 알아 보기로 하자.
계절과 음력
먼저 음력 한달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잘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쉽게 음력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음력의 한달을 정확히 결정하려면 달의 정확한 합삭 시각을 알아야 하는데 그게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달의 합삭 시각은 천문학자들의 의해 정확히 계산될 수 있는 것이지, 일반인들이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 앞서 예를 든 음력 한달의 결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검토하도록 하자. 먼저 올해 음력 2월의 정확한 기간은 양력 2월 21일 22시 5분 부터 3월 23일 16시 14분까지다. 정확히 계산하면 올해 음력 2월 한 달의 기간은 29일 18시간 9분이다. 마찬가지로 올해 음력 5월 한달의 기간은 양력 6월 20일 10시 52분부터 7월 19일 20시 24분까지로 29일 9시간 32분이다. 이제 우리는 음력 2월이 음력 5월보다 8시간 37분 더 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 왜 음력 2월이 음력 5월 보다 더 길까. 그것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타원 운동하기 때문이다.
이제 다시 태양과 지구 달의 운동을 자세히 보자(그림 1). 지구는 태양 주위를 타원 운동한다. 그래서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떨어지기도 하고 가까와지기도 한다. 오해를 피하기 위해 몇 마디 더 언급하면 북반구에서는 겨울에 지구와 태양 사이가 가깝고, 여름에 멀다. 그리고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멀리 있을 때에는 가까이 있을 때보다 천천히 움직인다. 그리고 지구가 천천히 움직일 때의 한 달이 빨리 움직일 때보다 짧다. 왜냐하면 지구가 빨리 움직인 거리를 달도 그만큼 멀리 따라 가야만 되고 그 만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의 음력 한달이 여름 때보다 길게 된다. 이것이 겨울에 30일인 달이 많은 원인이다
윤달과 절기
음력의 평균 한달은 정확히 29.530588일이며, 1년은 365.242196일이다. 따라서 음력 12달은 354.367056일이 되어 1년과는 10.87514일의 차이가 있다. 이 차이가 19년이 쌓이면 206.62766일이 되고, 이를 음력 평균 한 달인 29.530588로 나누면 6.9971이 된다. 즉 10년에 7번 정도의 윤달을 두면 음력과 양력이 거의 일치하게 된다. 이를 동양에서는 장범(章法)이라 부르며, 서양에서는 메톤 주기라 한다.
그러면 이제 19년 중에 윤달을 어디에 두느냐 하는 문제가 되는데, 이 윤달을 두는 법을 치윤법이라 한다. 고대 중국 은나라에서는 적당한 해의 마지막 달에 한달을 더 끼워 넣어 윤달을 배치하였으며, 주(周)나라 때부터 절기(節氣)를 도입하여 무중월을 윤달로 두는 원칙이 생겼다. 무중월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하고 먼저 절기에 대해 알아 보자.
흔히 사람들은 절기를 음력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실제 절기는 완전한 양력이다. 절기란 황도를 정확히 각도로 24 등분하여 각각의 위치에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면 된다. 그러니까 절기는 순전히 양력인 것이다. 달력을 자세히 보면 이를 더 잘 알수 있다. 동지가 매년 12월 21일나 22일에 있는 것이 그 예이다.
절기는 정확히 12절기와 12중기를 말하며, 이를 합해 24절기라 부르기도 한다. 양력으로 봤을 때 매달 4,5,6일 경에 있는 것이 절기다. 예를 들면 올해 1월 5일 소한, 2월4일 입춘, 3월5일 경칩, 4월5일 청명, 6월6일 입하 등이 절기에 속한다. 그리고 매달 19일 20일 21일 22일에 있는 것이 중기로 올해 1월20일 대한, 2월19일 우수, 3월20일 입춘, 4월20일 곡우, 5월21일 소만 등이 중기에 속한다. 절기는 중국 주나라 시대에 번성했던 화북 지역의 농경 생활을 토대로 부쳐진 이름이므로 우리의 환경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무중월이란 무엇인가. 무중월이란 음력 달중 중기가 들어 있지 않은 달을 무중월이라 한다. 올해 4월 5월의 달력을 보자. 4월 22일 밑에 윤3·1일이 적혀 있다. 윤달 3월 1일이란 뜻인데 이 달을 자세히 보면 중기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무중월이다. 이렇게 중기가 없는 달이 윤달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가끔 1년 중 무중월이 2번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먼저 있는 무중월이 윤달이 되고 나중 것은 평달이 된다. 극히 드문 경우지만 1년에 3번 무중월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3번이나 무중월이 있는 경우도 먼저 온 무중월이 윤달이 되고 나머지는 평달이 되어야 하나, 과거에 그 원칙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중국의 영향 때문인데, 자세한 것은 지면상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음력의 한 달을 결정하는 방법과 윤달 두는 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지만, 이것만으로 음력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는 없다.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다시 소개하기로 하고 몇 마디 더 첨언고자 한다.
이 글의 첫 머리에 지적한 것처럼 음력을 정식으로 국가에서 수용하려면 정부가 음력의 정확한 제정법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인 음력 폐지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한 나라에서 두 개의 역을 사용한다는 것은 사회의 혼란을 초래한다. 설이 이중 과세가 되고 있는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음력 사용이 갖는 또다른 문제점은 음력이 미신에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결혼 날짜 택일이나 운명 궁합 등이 음력의 사주 팔자를 토대로 결정하니 음력을 폐지하면 점치는 사람들이 곤란해져 점차 이들이 수도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