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발병 메커니즘은 아직도 수수께끼

남베트남의 밀림을 향해 소나기처럼 쏟아졌던 고엽제 에이전트 오렌지. 이 비를 맞았던 어떤 병사도 자신이 독극물 속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월남전에서 주로 쓰인 오렌지제는 2·4·5-T와 2·4-D라는 고엽제를 1:1로 섞은 혼합물이다. 이중 2·4·5-T안에 낮은 농도의 다이옥신이 포함돼 있다.
 

월남전이 종결된 지 20여년. 포성은 멎은 지 오래지만 그러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최근 국내에서는 월남전 참전자중 적지않은 수가 겪고 있는 심각한 신체장애의 문제가 뒤늦게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추측대로라면 이들이 겪고있는 병의 원인은 '고엽제 후유증'. 전쟁의 당사자였던 미국과 베트남에서는 이미 지난 70년대부터 문제가 됐던 질병이지만 현재까지는 그 어떠한 치료 방법도 인체발병원인의 규명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엽제란 무엇이며 왜 무려 20년의 시차를 둔 지금에서야 그 후유증의 심각성이 드러나고 있는가. 고엽제 노출로 입을 수 있는 인체피해는 무엇인가. 고엽제의 독성에 관한 궁금증을 8문8답으로 정리해본다.

Q1) 고엽제란 무엇인가

A) 고엽제는 문자 그대로 식물을 말려죽이는 약제로 그 뿌리는 제초제에서 출발한다. 월남전에서 주로 쓰였던 제품인 오렌지제는 2 · 4 · 5-T와 2 · 4-D라는 고엽제를 1 : 1로 섞은 혼합물로 이 약품을 담았던 드럼통의 색이 오렌지였던 데서 붙여진 이름이 에이전트 오렌지다.

Q2) 고엽제의 어떤 성분이 독성을 갖는가

A) 월남전에서 쓰였던 2 · 4 · 5-T안에는 TCDD라는 약칭으로 불리는 낮은 농도의 2 · 3-7 · 8사염화 다이옥신(tetra chloro dibenzodioxin)이 포함돼 있다.

이것이 흔히 다이옥신이라고 불리는 유독성의 물질로 고엽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난 불순물이라고 할 수 있다.

Q3) 다이옥신은 왜 독성을 갖는가

A) 고엽제 속의 유독성분인 다이옥신은 사실 원래 다이옥신의 변형체다. 1943년 스패트(Späth)등에 의해서 최초로 합성된 다이옥신은 물과 유기용매에 잘 녹는 성질을 갖고 있어 주로 용제로 쓰였다. 따라서 수용성 페인트나 화장품 잉크 등의 재료로 쓰이는데 이 자체가 어떤 독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가열등 어떠한 조건유입으로 인해 이 다이옥신에 벤젠(${C}_{6}$${H}_{6}$)기가 결합하게 되면 효소와 유사한 모양을 갖게 되며 이것이 세포차원에서 효소 수용체에 붙어 대사이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풀이된다.

Q4) 다이옥신이 인체나 동물에서 일으키는 질병의 메커니즘은 모두 밝혀졌는가

A) 다이옥신이 인체에 해롭다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된 것은 1949년 미국 몬산토사의 제초제 제작공장 폭발사건. 당시 제초제에 노출됐던 공장노동자들이 오랜 기간 피부병 등으로 고생하자 본격적인 독성연구가 시작됐다. 그러나 동물실험 등을 통해 다이옥신의 독성은 확인됐지만 체내에서 어떠한 경로로 특정질병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체질병도 현재까지는 피해자들에서 빈도높게 나타나는 증상들만이 연구되고 있을 뿐이다.

Q5) 인체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질병은 무엇인가

A) 1983년에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공식적으로 밝힌 바에 따르면 피부에 생기는 염소성 여드름, 연부조직육종, 신경질환, 간 이상 등이 두드러지는 질병이다.

이 중 염소성 여드름은 고엽제 후유증의 '검인'이라고 불릴만큼 발생빈도가 높은 피부질병으로 여드름과 유사하나 검은 반점을 동반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고엽제에 접촉한 시점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수년이 지난 후에야 발병하기도 한다. 염소성 여드름은 때때로 시각장애(원시)와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연부조직육종(soft tissue sarcoma)은 희귀하게 나타나는 암의 일종으로 이 병은 잠복기가 고엽제 후유증 중에서도 특히 길어 대개 15년이상으로 추정된다. 연부조직육종은 다이옥신이 들어있는 제초제를 사용한 사람들의 경우 5, 6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또 미국 미시건주 미드랜드 카운티에 있는 다우 케미컬사(에이전트 오렌지 제작회사)인근 지역에서 1960년부터 1978년까지 사망한 여성들의 사인을 조사한 결과 연부 및 결합조직암의 증가현상이 포착되기도 했다.

신경계에 관한 영향은 우리나라에서도 다수가 보고되고 있다. 교과서적으로 제시되는 증상은 보행과 하지(下肢) 기능조정 곤란이며 하지의 통증 및 쇠약을 동반하는 말초신경장애가 가장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다. 또 수면장애나 불면증 과수면증 성적장애가 자주 나타나고 심할 경우 정신분열증 등 신경정신계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

그러나 이런 여러가지 증상에도 불구하고 역학적으로 정확히 다이옥신에 의한 것이라는 근거를 댈 수 없는 질병이 더 많아 미국에서도 아직까지 보상을 법률로 규정한 고엽제 후유증은 연부조직육종과 비(非) 호지킨스(Hodgkin's) 림프종뿐이다.

Q6) 다이옥신은 제초제를 통해서만 인체에 침투하는가

A) 고엽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다이옥신이 생겨났듯이 다른 과정을 통해서도 다이옥신은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플라스틱을 소각할 경우. 즉 염화비닐이 불에 타면 여기서 염소가 분리되는데 이것이 벤젠기와 결합하여 고엽제에서와 똑같은 다이옥신이 발생한다.

Q7) 다이옥신의 독성은 어느 정도인가

A) 다이옥신의 치사량이 얼마인가, 어떤 질병을 일으키는가는 종(種)마다 다르다. 실험실 동물 중 다이옥신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기니피그의 경우 입으로 체중 kg당 0.6μg이라는 극소량이 투입돼도 즉시 병이 나고 일주일도 안되어 죽는 것으로 보고된다. 인체에 어느 정도 양이 치명적인가는 분명하지 않지만 미국의 경우 83년 기준으로 토양에는 1ppb(part per billion) 생선에는 50ppt(parts per trillion)이상이 돼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월남전 당시 남베트남에 뿌려진 고엽제 총량은 9천1백만kg이며 이중 61%가 다이옥신을 포함한 오렌지제였다. 다른 독성물질의 경우 그 잔류기간이 보통 1주일에서 18개월까지 다양하지만 다이옥신은 독성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만도 3년반이 걸린다.

Q8) 고엽제 후유증으로 의심되는 국내의 환자들의 경우는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는가

A) 국방부가 제시한 고엽제 후유증 환자 판정기준에 따르면 고엽제 살포지역에 근무한 적이 있는 사람에 한해 신체검사와 역학조사를 실시해 '고엽제로 인한 후유증발생확률이 기타 위험인자로 인한 질병발생확률보다 큰 경우'에 전상(戰傷)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고엽제살포로 나무들이 앙상하게 말라붙은 지역을 맹호부대원들이 지나고 있다(67년 1월).
 

1992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의학
  • 환경학·환경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