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특별한 수학] 얼렁뚱땅 추석 나들이 대작전

 

안녕! 나는 달에서 떡 찧는 토끼 ‘옥끼’야. 추석인데 떡방아만 찧으며 보낼 수 없지. 풍요와 재미가 가득한 지구로 떠날래! 나는 토끼라서 지구로 더 잘 토낀다고~.

 

지구로 떠나는 가장 완벽한 방법

 

그런데 지구에는 어떻게 가야 하지?

듣기로는 ‘슈퍼문’이 뜰 때 지구로 가장 빨리 건너갈 수 있다던데대체 슈퍼문이 뭐야? 달에 살지만 슈퍼문은 처음 들어보는걸!

 

슈퍼문은 평소보다 크게 보이는 보름달이에요. 달은 지구를 타원 모양으로 도는데, 달이 어디 있는지에 따라 지구와 달의 거리가 달라져요. 지구와 달 사이가 가까울 때 보름달이면 슈퍼문이라고 하지요. 2024년 9월 18일 오후 10시 22분에 슈퍼문이 뜬다고 하니, 옥끼는 그때 지구에 오면 되겠네요!

 

 

 

달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보름달이 뜨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돌기 때문이에요.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태양 빛을 받아 반사되는 부분만 우리 눈에 보여요. 달의 둥근 모습이 전부 보이면 ‘보름달’, 반대로 달의 그늘진 부분만 보이면 ‘삭’이라고 하지요.

 

 

▲위키미디어
일반 보름달과 슈퍼문이 우리 눈에 보이는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에요. 왼쪽이 일반 보름달, 오른쪽이 슈퍼문이에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9월 15일 어린이수학동아(18호) 정보

  • 박소은
  • 디자인

    김은지
  • 일러스트

    Midjourney,GIB
  • 사진

    어린이수학동아, GIB, 위키미디어, 국립민속박물관 
  • 참고자료

    ‘2024년 9월 월별천문현상’(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어린이 민속놀이-지능겨루기놀이’(<조선의 민속전통>편찬위원회),  ‘Calibrating Car-Following Models by Using Trajectory Data’(Arne Kesting and Martin Treiber)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지구과학
  • 천문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