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숫자로 보는 뉴스] 쉬지도 않고 훨훨! 4200km 날아간 작은멋쟁이나비

▲Dhahran Hills
긴 비행을 끝내고 해변에서 쉬고 있는 작은멋쟁이나비의 모습이에요.

 

주로 유럽과 아프리카에 사는 ‘작은멋쟁이나비’가 약 4200km를 넘게 날아 남아메리카까지 갈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졌어요.

 

지난 2013년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라는 곳에서 평소 잘 보이지 않던 작은멋쟁이나비가 발견됐어요. 국제 연구팀은 이 나비가 어디서부터 어떻게 왔을지 연구했지요. 

 

그 결과, 작은멋쟁이나비가 대서양을 건너 5~8일 동안 쉬지 않고 날았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나비의 유전자, 날개에 묻은 꽃가루, 그리고 대서양에 부는 바람의 방향 등을 모두 분석한 결과였지요.

 

원래 작은멋쟁이나비는 먹이를 먹지 않고 약 780km까지 날 수 있는데, 남아메리카 쪽으로 부는 바람을 타고 더 먼 거리를 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어요.

 

 

한 단계 더!

 

 

작은멋쟁이나비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나비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어요. 지금까지 작은멋쟁이나비가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을 건너 유럽까지 이동한다는 것은 확인됐지만, 대서양을 건너 남아메리카까지 날아갈 수 있다는 건 처음 밝혀졌지요. 나비는 꽃가루뿐 아니라 병균, 곰팡이 등을 묻힌 채 이동할 수도 있어서, 나비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질병이 퍼지는 걸 막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요. 

 

 

용어 설명

남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남쪽 부분이에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이 남아메리카에 속해요.

대서양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사이에 있는 거대한 바다예요. 태평양 다음으로 큰 바다지요.

유전자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물려지는 특징을 만들어내는 유전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예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9월 1일 어린이수학동아(17호) 정보

  • 박소은
  • 디자인

    김은지
  • 사진

    Dhahran Hills, GIB
  • 참고자료

    Gerard Talavera et al, ‘A trans-oceanic flight of over 4,200km by painted lady butterflies’, (2024)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기상학·대기과학
  • 통계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