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 1, 3, 5가 ‘평균’이 나타났다며 소리를 지르고 있어요. 

뒤를 보니, 보라색 숫자 3이 사악하게 웃으며 쫓아오고 있군요. 보라색 숫자 3이 바로 평균인 걸까요?

 

수달에게 묻는다! 

여러 자료를 대표하는 값!

 

어수동 : ‘평균’은 어떤 세균이죠?

 

수달 : 앗, 평균에서 균은 세균 균(菌) 자가 아니고, 고를 균(均) 자예요. ‘고르고 평평하게 한다’는 뜻의 한자이지요. 평균은 여러 개의 자료가 모여있을 때, 그 자료를 대표할 수 있는 값을 말해요. 

 

어수동 : 그럼, 대표하는 값은 어떻게 구하나요?

 

수달 : 자료의 값을 모두 더한 뒤, 자료의 수로 나누면 평균을 구할 수 있어요. 만약 친구 3명이 각각 1점, 3점, 5점을 받았을 때, 3명의 평균을 구해볼까요? 점수의 합은 1+3+5=9이고, 친구의 수는 3명이니까 자료의 합인 9를 3으로 나누면 3이 돼요. 즉, 이 모임의 평균은 3점인 것이지요. 평균을 구할 때는 자료의 수를 정확하게 세는 것이 중요해요. 자료의 수를 잘못 세면 평균도 틀리게 되거든요.

 

 

어수동 : 평균은 언제 필요한가요? 

 

수달 : 평균은 일상에서 자주 쓰여요. ‘우리 반 친구들의 평균 키는 135cm입니다’, ‘작년 가을의 평균 기온은 15℃입니다’ 등으로 나타내지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3년 21호 어린이수학동아 정보

  • 조현영 기자 기자
  • 일러스트

    밤곰

🎓️ 진로 추천

  • 수학
  • 통계학
  • 교육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